卷三 致知 18. 학문이란 들뜬 상태에서는 이룰 수 없다
義理之學(의리지학)
의리(義理)의 학문은,
亦須深沈方有造(역수심침방유조)
또한 깊이 잠겨서 방정(方正)하게 해야 도달할 수 있다.
非淺易輕浮之可得也(비천역경부지가득야)
얕고 쉽고 가볍고 들뜬 상태에서는 이루어 질 수가 없는 것이다.
<장자전서(張子全書)>제6편(第六篇)·<강주(江註)> 문집편(文集篇)
의리(義理)의 학문은 깊이 조용히 연구하는 데서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에 주자는 성인의 말씀은 갈수록 무거워서 깊은 곳으로 들어 가야만 비로소 얻게되는 것이니, 만약 겉만 훑어본다면 이루어질 수가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三 致知 20. 험한 경험을 한 후에 마음이 통한다 (0) | 2016.08.02 |
---|---|
卷三 致知 19. 마음이 거칠고 산만하면 성인에 이를 수 없다. (0) | 2016.08.02 |
卷三 致知 17. 구차하게 아는 것을 터득이라 하지 않는다. (0) | 2016.07.29 |
卷三 致知 16. 물괴(物怪)와 신간(神姦)은 말하기 어렵지 않다 (0) | 2016.07.29 |
卷三 致知 15. 의문을 풀어 그 뜻을 이해하라 (0) | 2016.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