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三 致知 52. 4효(四爻)와 5효(五爻)는 음효(陰爻)이다.
大畜初二(대축초이) 乾體剛健(건체강건)
대축(大畜)의 초효(初爻)와 2효(二爻)는, 건체(乾體)로서 강건하니,
而不足以進(이부족이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四五陰柔(사오음유) 而能止(이능지)
4효(四爻)와 5효(五爻)는 음효(陰爻)로서 부드러우니, 능히 멈출 수가 있다.
時之盛衰(시지성쇠) 勢之强弱(세지강약)
때의 성쇠(盛衰)와, 형세의 강약(强弱)은,
學易者所宜深識也(학역자소의심식야)
역(易)을 배우는 자가 깊이 알아 두어야 할 것이다.
<이천역전(伊川易傳)>대축괘(大畜卦) 구이상전(九二上典)
대축(大畜)이란,<주역>의 괘이름으로, 하늘의 기운(☰)을 모아 초목을 양성하는 산(☶)을 나타내며 건하간상(乾下艮上)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초이(初二)라고 하는 말은, 괘(卦)의 효(爻)는 아래에서 부터 시작하여 초효(初爻), 2효, 3효, 4효, 5효,상효(上爻)라고 부른다. 아래에 양(陽)이 오면 초양(初陽), 음(陰)이 오면 초음(初陰)이라고 하는데,양(陽)을 구(九), 음(陰)을 육(六)이라고 한다. 때문에 이 대목의 대축(大畜)이란 대(大)가 소(小)를 기르는 것으로, 큰일을 성취하려는 사람은 힘과 실력을 쌓아 두어야 이룰 수 있음을 말한다. 강건 하면서도 멈춤의 도(道)가 있는 것은 하늘의 도에 순응하는 것이다. 하늘의 도에 순응함으로써 위험에 처해 있어도 탈이없다는 것인데, 역(易)을 배우는 사람은 이로써 성쇠와 강약의 이치를 잘 이해해야 한다는 말이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三 致知 54. 다만 한 가지에만 구애되어서는 안 된다. (0) | 2016.09.03 |
---|---|
卷三 致知 53. 중(中)은 언제나 가운데 자리해야 한다. (0) | 2016.09.03 |
卷三 致知 51. 때(時)의 성쇠를 알고 강약(强弱)을 알아야 한다. (0) | 2016.09.03 |
卷三 致知 50. 상(象)이 있은 다음에 수(數)가 있는 것이다. (0) | 2016.09.02 |
卷三 致知 49. 이천 선생이 역전의 서문을 지었다. (0) | 2016.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