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三 致知 53. 중(中)은 언제나 가운데 자리해야 한다.
諸卦二五雖不當位(제괘이오수부당위)
모든 괘의 2효와 5효는 비록 그 위치에 해당하지 않아도 중(中)이 되니,
多以中爲美(다이중위미)
중(中)이면 자리에 맞는 것이 많아서 미(美)라고 할 수가 있다.
三四雖當位(삼사수당위) 或以不中爲過(혹이부중위과)
3효와 4효는 비록 그 위치에 해당하지만, 중(中)에 맞지 않아 허물이 되며,
中常重於正也(중상중어정야)
중(中)은 언제나 정위(正位)를 얻어야만 귀중하게 되는 것이다.
蓋中則不違於正(개중즉불위어정)
대개 중(中)은 정위(正位)에 어긋나지 않으나,
正不必中也(정불필중야)
정위(正位)라고 해서 반드시 중(中)은 아니므로,
天下之理(천하지리) 莫善於中(막선어중)
천하의 이치는, 중(中)을 얻는 것 같은 선(善)은 없는 것이다.
於九二六五可見(어구이육오가견)
모든 괘의 구2(九二)와 육5(六五)에서 볼 수가 있다.
<이천역전(伊川易傳)>진괘(震卦)육5효편(六五爻篇)
부당위(不當位)란 6효의 위치는 초·3·5가 양(陽)이고, 2·4·상이 음(陰)이다. 양의 위치에 양효가 있고, 음의 위치에 음효가 있는 것을 당위(當位)라고 하고, 이와 반대의 경우가 되는 것을 부당위(不當位)라고 한다. 이 대목은 <주역>의 양효와 음효의 대립에서 정(正)과 중(中)에 대한 설명을 하고있다. 중(中)은 정위(正位)일 때는 귀중하지만, 정위(正位)라고 해서 반드시 중(中)은 아니다. 따라서 중정(中正)일 때 가장 좋다는 말이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三 致知 55. 6효는 사람마다 그 쓰임이 있다. (0) | 2016.09.03 |
---|---|
卷三 致知 54. 다만 한 가지에만 구애되어서는 안 된다. (0) | 2016.09.03 |
卷三 致知 52. 4효(四爻)와 5효(五爻)는 음효(陰爻)이다. (0) | 2016.09.03 |
卷三 致知 51. 때(時)의 성쇠를 알고 강약(强弱)을 알아야 한다. (0) | 2016.09.03 |
卷三 致知 50. 상(象)이 있은 다음에 수(數)가 있는 것이다. (0) | 2016.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