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三 致知 78. <춘추>는 오직 맹자만이 알고 있었다.
春秋之書(춘추지서) 在古無有(재고무유)
<춘추(春秋)>라는 책은, 옛날에는 있지 않았었다.
乃仲尼所自作(내중니소자작) 惟孟子能知之(유맹자능지지)
공자가 지은 것인데, 오직 맹자만이 잘 알고 있었다.
非理明義精(비리명의정)
<춘추>는 이치에 밝고 정밀한 의리(義理)가 아니면,
殆未可學(태미가학)
거의 배울 수가 없는 학문이다.
先儒未及此而治之故(선유미급차이치지고)
선유(先儒)들은 이 이치에 미치지 못하였기 때문에,
其說多鑿(기설다착)
그 학설에 제멋대로 해석한 것이 많은 것이다.
<장자전서(張子全書)>제14편(第十四篇)·<강주어록(江註語錄)>
<춘추>는 이치에 밝고 정밀한 사람이 읽어야만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글이다. 여러 유자(儒者)들은 자신의 학문만을 믿고, 각기 이치에 맞지 않는 해석을 하면서 글을 읽었으니, 그 말에 천착함이 있는 것이라는 말이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四 存養 2. 양(陽)이 처음 생겨날 때는 매우 미약하다. (0) | 2016.09.09 |
---|---|
卷四 存養 1. 배워서 성인이 될 수 있습니까? (0) | 2016.09.09 |
卷三 致知 77. 이해한 구절은 서로 관련시켜 뜻을 밝혀라. (0) | 2016.09.08 |
卷三 致知 76. 육경(六經)은 되풀이하여 읽어라. (0) | 2016.09.08 |
卷三 致知 75. 글은 반드시 암송을 해야 한다. (0) | 2016.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