近思錄

卷五 克己 6. 욕심 때문에 폐단에 빠진다.

강병현 2016. 9. 29. 11:51

卷五 克己 6. 욕심 때문에 폐단에 빠진다.

 

 

損者(손자) 損過而就中(손과이취중)

손괘(損卦), 지나침을 덜고 중정(中正)으로 가는 것이며,

 

損浮末而就本實也(손부말이취본실야)

화려함을 바꿔서 본질적인 것으로 이루는 것이다.

 

天下之害(천하지해) 無不由末之勝也(무불유말지승야)

천하의 해로움은, 말엽이 이기는 것에서 오는 것이다.

 

峻宇雕墻(준우조장) 本於宮室(본어궁실)

높은 집과 호화로운 담장은, 궁실에 근본을 두고,

 

酒池肉林(주지육림) 本於飮食(본어음식)

주지육림(酒池肉林), 음식에 근본을 두고,

 

淫酷殘忍(음혹잔인) 本於刑罰(본어형벌)

음란하고 가혹하며 잔인함은, 형벌에 근본을 두고,

 

窮兵黷武(궁병독무) 本於征討(본어정토)

지나친 전쟁은, 정벌에 근본을 둔다.

 

凡人欲之過者(범인욕지과자) 皆本於奉養(개본어봉양)

대체로 사람의 욕심이 지나친 것은, 모두 봉양을 근본으로 하니,

 

其流之遠(기류지원) 則爲害矣(즉위해의)

그것이 멀리 퍼져 나가면, 해가 되는 것이다.

 

先王制其本者(선왕제기본자) 天理也(천리야)

선왕(先王)이 그 근본을 제정한 것은, 천리(天理)이고,

 

後人(후인) 流於末者(류어말자) 人欲也(인욕야)

후세의 사람들이, 잘못된 폐단에 흐르는 것은, 사람의 욕심인 것이다.

 

損之義(손지의) 損人欲(손인욕)

그러므로 손()의 뜻은, 사람의 욕심을 덜어서,

 

以復天理而已(이복천리이이)

천리(天理)로 돌아가게 하는 것뿐이다.

    

                                                            <이천역전(伊川易傳)> 손괘(損卦) 단전(彖傳)

 

<주역>손괘(損卦)를 풀이한 것이다. 표면적인 만족을 이루려는 것은 인간의 욕심이며, 욕심은 끝이 없는 말엽적인 것으로서 온갖 폐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은 마음을 충실히 기르는 데 힘을 쓰고 욕심을 억제하여 모든 세상사를 지나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곧 천리(天理)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