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五 克己 20. 자연의 도를 지켜라
飢食渴飮(기식갈음)
배고프면 먹고 목마르면 마시며,
冬裘夏葛(동구하갈)
겨울에는 갖옷을 입고 여름에는 칡베 옷을 입는다.
若致些私吝心在(약치사사인심재)
만약 조금이라도 사사롭고 인색한 마음이 나타난다면,
便是廢天職(편시폐천직)
하늘의 직무를 버리는 것이다.
<정씨유서(程氏遺書)>제6편(第六篇)
기식갈음(飢食渴飮)이란 배고프면 먹고 목이 마르면 물을 마신다는 뜻이다. 이는 곧 자연의 현상이므로 하늘에 따른다는 의미를 지닌다. 몸을 기르는 일은 자연에 따르는 것인데, 기준을 벗어난 사린심(私吝心)은, 곧 자연의 도를 어기는 것이 되는 것이다. 사린심(私吝心)이란, 사사롭고 인색한 마음을 이르는 말로, 곧 자연의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따라서 음식이나 의복에 대하여 절도를 행할 것을 말하는 있는 대목이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五 克己 22. 사람이 몸을 지니고 있는 한 (0) | 2016.10.03 |
---|---|
卷五 克己 21. 이렇게 좋은 것이 지금은 나에게 없다. (0) | 2016.10.03 |
卷五 克己 19. 구덕(九德)은 가장 좋은 것이다. (0) | 2016.10.02 |
卷五 克己 18. 자기라는 것은 내가 지니고 있는 것이다. (0) | 2016.10.02 |
卷五 克己 17. 자기 자신에 대해서만 관대한 사람 (0) | 2016.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