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 제30편第30篇 내저설(상)內儲說(上) : 돌려 말하지 못하게 하라
- 韓非子 第30篇 內儲說(上) 七術:一聽[405]-
應侯謂秦王曰: (응후위진왕왈)
진나라의 재상 응후가 진왕에게 말했다.
" 王得宛 (왕득완)· 葉(섭) · 藍田(람전) · 陽夏(양하), 斷河內,(단하내)
“왕께서는 초나라의 원, 남전, 양하를 얻으셨고, 위나라의 하내를 점령하고,
因梁(인량) · 鄭(정), 所以未王者(소이미왕자), 趙未服也(조미복야)。
위나라의 서울인 양과 한나라의 서울인 정을 쳐서 괴롭히고 계십니다.
□弛上黨在一而已(□이상당재일이이),
그런데도 왕업이 달성되지 않는 것은 조나라가 항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만약 상당을 포위하기 위한 군사를 이동하여
以臨東陽(이림동양),
조나라의 동양을 공략한다면
則邯鄲口中虱也(칙감단구중슬야)。
한단은 입안의 이(虱)처럼 쉽게 으깨버릴 수가 있을 것입니다.
王拱而朝天下(왕공이조천하),
조나라가 망하면 왕께서는 팔짱을 끼고 앉아서 제후들을 부르시게 될 것이며,
後者以兵中之(후자이병중지)。
늑장을 부리고 늦게 오는 자가 있으면 군대를 보내어 칠 수 있을 것입니다.
然上黨之安樂(연상당지안낙),
그러나 상당이라는 안락한 곳이 살기 힘든 곳이 되지 않을까 하여
其處甚劇(기처심극),
그곳에 있는 수비병을 이동했으면 하는
臣恐□弛之而不聽(신공□이지이부청), 奈何(나하)? "
신의 청을 왕께서 들어주시지 않을 것이 걱정이 됩니다.”
王曰(왕왈): " 必□弛易之矣(필□이역지의)。"
왕이 말했다. “반드시 포위를 풀고 군대를 이동시키겠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 제30편第30篇 내저설(상)內儲說(上) : 말없이 경쟁시켜라 (0) | 2016.10.06 |
---|---|
한비자韓非子 제30편第30篇 내저설(상)內儲說(上) : 계책으로 부하를 조종하라 (0) | 2016.10.06 |
한비자韓非子 제30편第30篇 내저설(상)內儲說(上) : 두 갈래 말을 못하게 하라 (0) | 2016.09.21 |
한비자韓非子 제30편第30篇 내저설(상)內儲說(上) : 떠볼 수 없게 하라 (0) | 2016.09.21 |
한비자韓非子 제30편第30篇 내저설(상)內儲說(上) : 떼어놓고 보아라. (0) | 2016.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