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書經)

第 1 篇 虞書 皐陶謀典 第四 02. 고요가 구덕(九德)을 통한 덕치를 설명하다.

강병현 2017. 1. 27. 13:31

1 篇 虞書 皐陶謀典 第四 02. 고요가 구덕(九德)을 통한 덕치를 설명하다.

 

 

皐陶曰(고도왈) ()亦行有九德(역행유구덕)

고요가 말하기를 , 행동에도 아홉 가지 덕이 있으니

亦言其人(역언기인)有德(유덕)인대 乃言曰載采采(내언왈재채채)니이다

그 사람의 두는 덕을 다 말씀하자면 이에 일러 말하되 일과 일을 행함이니라

禹曰(우왈) ()

우가 말하기를 무엇을 말씀하십니까.”

皐陶曰(고도왈) 寬而栗(관이률)

고요가 말하기를 너그러우면서도 위엄이 있는 것과

柔而立(유이립)愿而恭(원이공)

부드러우면서도 굿굿한 것과 성실하면서도 공손한 것과

亂而敬(난이경)擾而毅(요이의)

다스리면서도 공경하는 것과 온순하면서도 굳센 것과

直而溫(직이온)簡而廉(간이렴)

곧으면서 온화한 것과 간략하면서도 세심한 것과

剛而塞(강이색)彊而義(강이의)

억세면서도 착실한 것과 날렵하면서도 올바른 것

彰厥有常(창궐유상)吉哉(길재)니이다

이 모든 것이 뚜렷하고 뜻뜻함을 둠이 길합니다.”

日宣三德(일선삼덕)인댄(하린)

날로 세 가지 덕을 밝히는 사람은

夙夜(숙야)浚明有家(준명유가)

일찍이나 밤에 집을 다스려 밝힐지며

日嚴祗敬六德(일엄지경륙덕)인댄

날로 엄히 여섯 가지 덕을 공경하는 사람은

亮采有邦(량채유방)리니

일을 나라에 밝히러 하니

翕受敷施(흡수부시)九德(구덕)咸事(함사)

합하여 받으며 펴서 베풀면 아홉 가지 덕이 모두 이루어진다.

俊乂在官(준예재관)百僚師師(백료사사)

일하여 준걸과 다스리는 사람이 벼슬에 있어 백료들이 스승으로 삼으며

百工(백공)惟時(유시)撫于五辰(무우오신)

백공이 때로 오진을 순하게 어루만지어

庶績(서적)其凝(기응)리이다

여러 공적이 이루어지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