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이익 앞에서는 나라도 없다
- 韓非子 第31篇 內儲說(下) 六微:利異[203]-
公叔相韓而有攻齊,(공숙상한이유공제)
공숙이 한나라의 재상이 되었는데, 제나라와는 친밀했다.
公仲甚重於王,(공중심중어왕)
그때 공중이란 자가 한나라 왕에게 총애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公叔恐王之相公仲也,(공숙공왕지상공중야)
공숙은 왕이 공중을 재상으로 삼지 않을까 염려했다.
使齊(사제) · 韓約而攻魏。(한약이공위)
그래서 제나라와 한나라를 동맹시켜 위나라를 공격하고,
公叔因內齊軍於鄭,(공숙인내제군어정)
제나라 군대를 수도인 정에 끌어들여
以劫其君,(이겁기군) 以固其位,(이고기위) 而信兩國之約。(이신량국지약)
한왕을 위협하고 자기 지위를 견고히 하며 두 나라의 맹약을 더욱 굳혔다.
翟璜,(적황) 魏王之臣也,(위왕지신야) 而善於韓。(이선어한)
적황은 위나라 왕의 신하였는데, 한나라와도 친밀했기 때문에
乃召韓兵令之攻魏,(내소한병령지공위)
한나라 군대를 끌어들여 위나라를 공격하도록 했다.
因請爲魏王搆之以自重也。(인청위위왕구지이자중야)
그리고 나서 자기는 위나라 왕을 위해서 한나라와의 강화를 주선했다.
그리고는 그 공에 의해서 자기 지위를 반석 위에 올려놓은 것이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사욕을 위해 나라를 판다 (0) | 2019.12.17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어느 것이 이익인가 (0) | 2019.12.0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이익이 있으면 뭉친다. (0) | 2019.12.05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0 : 생각은 이익에 따라 다르다 (0) | 2019.12.04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임금과 신하의 이익은 상반된다. (0) | 2019.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