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어느 것이 이익인가

강병현 2019. 12. 8. 21:54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어느 것이 이익인가

 

韓非子 第31篇 內儲說() 六微:利異204]-

 

越王攻吳王, (월왕공오왕) 吳王謝而告服, (오왕사이고복)

월왕 구천이 오왕 부차를 공격하자 오왕은 사죄하고 항복을 청해왔다.

 

越王欲許之(월왕욕허지)

월왕은 용서하려고 했으나

 

范蠡 (범려大夫種曰: (대부종왈)" 不可(부가)

범씨와 대부 종이 말했다. “용서해 주면 안 됩니다.

 

昔天以越與吳, (석천이월여오) 吳不受, (오부수)

옛날에 하늘이 월을 오에 주었는데 오는 이것을 받지 않았습니다.

 

今天反夫差, (금천반부차)

그래서 지금은 하늘이 부차를 뒤엎은 것입니다.

 

亦天禍也(역천화야)

이것은 오가 하늘의 선물인 월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하늘이 내리신 화를 입게 된 것입니다

 

以吳予越, (이오여월)

이처럼 하늘이 오를 월에게 주는 이상,

 

再拜受之, (재배수지) 不可許也(부가허야)

재배하고 이것을 받아야 되며, 절대로 오를 용서해서는 안 됩니다.”

 

" 太宰嚭遺大夫種書曰: (태재비유대부종서왈)

그런데, 오의 태재 희가 대부 종에게 다음과 같은 서한을 보냈다.

 

" 狡免盡則良犬烹, (교토진칙량견팽)

못된 토끼의 사냥이 끝나면 좋은 사냥개는 필요가 없게 되어 삶아 먹히며,

 

敵國滅則謀臣亡(적국멸칙모신망)

적국이 멸망하면 그 계획에 참가했던 신하도 필요가 없게 되어

죽음을 당하게 될 것입니다.

 

大夫何不釋吳而患越乎? (대부하부석오이환월호)

대부께서는 어찌하여 오를 멸망시키지 않고 용서함으로써 월나라의 적으로 그대로 있게 하여 월나라로 하여금 걱정이 그칠 날이 없도록 하지 않으십니까.”

 

" 大夫種受書讀之, (대부종수서독지) 太息而歎曰: (태식이탄왈)

대부 종은 이 서한을 받아 보고 한숨을 쉬며 이렇게 말했다.

 

" 殺之, (살지) 越與吳同命(월여오동명)

이 사자를 죽여라. 월과 나는 운명을 함께 할 것이다.

오를 용서하여 적으로 만들고 그 신하인 내 지위를 확보해도

월은 머지않아 오에 멸망될 것이니 내 목숨도 끝이 날 것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