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반대급부를 노린다.
- 韓非子 第31篇 內儲說(下) 六微:有反[401]-
陳需(진수), 魏王之臣也(위왕지신야),
진수는 위왕의 신하였는데,
善於荊王(선어형왕),
초왕과도 친밀했기 때문에
而令荊王攻魏(이령형왕공위)。
그것을 이용하여 초나라로 하여금 위나라를 공격하도록 했다.
荊攻魏(형공위),
초나라 군대가 위를 공격해 오자
陳需因請爲魏王行解之(진수인청위위왕항해지),
진수는 스스로 위왕을 위하여 적진으로 나아가 화해를 했다.
因以荊勢相魏(인이형세상위)。
그리하여 초나라 세력에 의하여 위나라 재상이 되었다.
韓昭侯之時(한소후지시), 黍種常貴尠有(서종상귀선유)。
한나라 소후 때 기장 값이 앙등한 적이 있었다.
昭侯令人覆廩(소후령인복름),
소후는 사람을 시켜 창고지기를 조사하게 했다.
廩吏果竊黍種而糶之甚多(름리과절서종이조지심다)。
과연 기장을 창고에서 빼돌려 외국에 팔고 있는 자가 많았다.
昭奚恤之用荊也(소해휼지용형야),
소해휼이 초나라에서 정권을 잡고 세도를 부리고 있었을 때
有燒倉廥□窌者而不知其人(유소창괴□교자이부지기인)。
곡식이나 여물을 넣은 창고에 불을 지른 자가 있었는데 그 범인을 알 수가 없었다.
昭奚恤令吏執販茅者而問之(소해휼령리집판모자이문지),
소해휼은 관리를 시켜 띠(茅)를 팔러 다니는 자를 심문하게 했다.
果燒也(과소야)。
과연 바로 그가 방화범이었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세 가지 죽을 죄 (0) | 2020.01.07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이익이 있는 자가 범인이다 (0) | 2020.01.07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서로의 이해는 상반된다. (0) | 2019.12.23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남의 이익을 빌어 나의이익을 챙긴다. (0) | 2019.12.23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돕는 듯 제거한다. (0) | 2019.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