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적의 인재는 아국의 장애물이다
- 韓非子 第31篇 內儲說(下) 六微:廢置[602]-
楚王謂干象曰:(초왕위간상왈)
초왕이 간상에게 말했다.
" 吾欲以楚扶甘茂而相之秦,(오욕이초부감무이상지진) 可乎?(가호) "
“힘으로 간무를 도와 진나라 재상을 시킬 생각인데 어떻습니까.”
干象對曰:(간상대왈) " 不可也。(부가야)"
간상이 대답했다. “그것은 좋지 않습니다.”
王曰:(왕왈) " 何也?(하야) "
초왕이 물었다.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曰:(왈)
간상이 다시 대답했다.
" 甘茂少而事史擧先生。(감무소이사사거선생)
“감무는 소년시절에 사거 선생에게 사사를 했었는데,
史擧,(사거) 上蔡之監門也, (상채지감문야 )
사거 선생은 상채의 문지기를 하고,
大不事君,(대부사군) 小不事家,(소부사가)
더 나아가 군주를 받들지도 못했으며 또 집안을 다스리지도 못했고,
以苛刻聞天下。(이가각문천하)
말도 사나운 지독한 인간이라는 평판이 있었는데도
茂事之,(무사지) 順焉。(순언)
감무는 그에게 순종하였으며,
惠王之明,(혜왕지명) 張儀之辨也,(장의지변야)
또 총명한 진나라 혜왕이나 웅변이 좋은 장의를 섬기고,
茂事之,(무사지) 取十官而免於罪,(취십관이면어죄) 是茂賢也。(시무현야)"
많은 관직을 거쳤어도 죄를 범하지 않았다는 것은 그가 현자라는 증거입니다.”
王曰:(왕왈)
왕이 말했다.
" 相人敵國而相賢, (상인적국이상현) 其不可何也?(기부가하야 ) "
“사람을 보내 적국의 재상으로 심으려 하는데
현자는 안 된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干象曰:(간상왈)
간상이 말했다.
" 前時王使邵滑之越,(전시왕사소골지월)
“그전에 왕께서는 월나라에 사람을 보내어
五年而能亡越。(오년이능망월)
5년후 월나라가 멸망한 적이 있었습니다.
所以然者,(소이연자) 越亂而楚治也。(월난이초치야)
그러나 그렇게 일이 잘 된 것은 월나라가 부패한 반면,
日者知用之越,(일자지용지월)
우리 초나라는 정치가 잘 되었기 때문이었습니다.
今忘之秦,(금망지진) 不亦太亟忘乎?(부역태극망호) "
그러나 지금은 사정이 달라졌으니 다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王曰:(왕왈) " 然則爲之奈何?(연칙위지나하) "
왕이 물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干象對曰:(간상대왈) " 不如相共立。(부여상공립)"
간상이 대답했다. “공립은 소년시절부터 진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王曰:(왕왈) " 共立可相,(공립가상) 何也?(하야) "
對曰:(대왈) " 共立少見愛幸,(공립소견애행)
간상이 대답했다. “공립은 소년시절부터 진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長爲貴卿,(장위귀경) 被王衣,(피왕의)
성인이 되어 대신이 되고, 왕복을 입고
含杜若,(함두야) 握玉環,(악옥환)
입에는 두약이라는 향초를 머금고,
以聽於朝,(이청어조) 且利以亂秦矣。"(차리이난진의 )
손에는 팔찌를 끼고, 조정의 정치를 귀담아 듣기만 하는 유약한 인물이므로
그를 재상으로 삼게 하면 진나라를 문란하게 하는데 좋을 것입니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조정에 앉아 적을 치다. (0) | 2020.01.11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먼저 흐트러뜨려라. (0) | 2020.01.11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주어서 쓰러트려라 (0) | 2020.01.11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인사관리를 밝게 하라 (0) | 2020.01.11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좋아하면 위태롭다 (0) | 2020.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