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六篇 論難(一) : 상과 벌은 냉정해야 한다
- 韓非子 第36篇 論難(一)[4]-
襄子圍於晉陽中(양자위어진양중), 出圍(출위),
양자가 진양의 성중에 포위되어 있다가 그것을 뚫고 나와
賞有功者五人(상유공자오인), 高赫爲賞首(고혁위상수)。
공이 있는 다섯 사람에게 상을 주었는데 고혁이 최고의 상을 받았다.
張孟談曰(장맹담왈): " 晉陽之事(진양지사), 赫無大功(혁무대공),
장맹담이 말했다. “진양의 싸움에서 고혁은 큰 공을 세우지도 않았는데
今爲賞首(금위상수), 何也(하야)? "
최고의 상을 받게 된 이유가 무엇입니까.”
襄子曰(양자왈): " 晉陽之事(진양지사), 寡人國家危(과인국가위),
양자가 대답했다. “진양 싸움에서 우리나라는 위험했고,
社稷殆矣(사직태의)。吾群臣無有不驕侮之意者(오군신무유불교모지의자),
사직이 멸망하려 했기 때문에 신하 가운데 오만하고
나를 멸시하지 않는 자가 없었는데
惟赫不失君臣之禮(유혁불실군신지례),
고혁만이 임금과 신하 사이의 예의를 지키고 있었기 때문에
是以先之(시이선지)。
그에게 최고의 상을 준 것이다.”
" 仲尼聞之曰(중니문지왈): " 善賞哉(선상재)!
공자는 이 말을 듣고 말했다. “올바른 행상이다.
襄子賞一人而天下爲人臣者莫敢失禮矣(양자상일인이천하위인신자막감실례의)。"
양자는 한 사람의 고혁에게 상을 주었기 때문에
세상 신하 가운데 군주에게 결례하는 자가 없어졌다.”
或曰(혹왈): 仲尼不知善賞矣(중니부지선상의)。
어떤 사람은 말했다. “공자는 올바른 시상법을 모르고 있다.
夫善賞罰者(부선상벌자), 百官不敢侵職(백관불감침직),
대체로 올바른 상벌을 행하는 사람 밑에는 백관은 자기 직분을 지키고 있으며,
群臣不敢失禮(군신불감실례)。
신하들은 예의를 잃지 않는 법이다.
上設其法(상설기법), 而下無姦詐之心(이하무간사지심)。
위에 있는 자가 법을 세우고, 아래에 있는 자가 간악과 거짓이 없어야만
올바른 상벌을 행하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如此(여차), 則可謂善賞罰矣(즉가위선상벌의)。使襄子於晉陽也(사양자어진양야),
만일 양자가 진양에서 명령을 했어도 실행되지 않고,
令不行(령불행), 禁不止(금부지),
금지시켜도 중지되지 않았다고 하면
是襄子無國晉陽無君也(시양자무국진양무군야),
양자에게는 나라가 없었고, 진양에는 군주가 없었던 것이다.
尙誰與守哉(상수여수재)?
그렇게 되면 누구와 함께 진양을 지키려 했던 것인가.
今襄子於晉陽也(금양자어진양야),
그런데 양자가 진양에 있었을 때,
知氏灌之(지씨관지),
지씨에게 물의 공격을 받고,
臼竈生䵷(구조생와), 而民無反心(이민무반심),
솥은 물에 잠기고 개구리가 헤엄을 쳐도 백성들이 반란할 생각이 없었다는 것은
是君臣親也(시군자친야)。
임금과 신하가 서로 친밀했기 때문이다.
襄子有君臣親之澤(양자유군신친지택),
이처럼 양자에게는 임금과 신하가 친밀할 수 있는 은정이 있었고,
操令行禁止之法(조령행금지지법),
더욱이 명령이 내려지면 행하여지고,
而猶有驕侮之臣(이유유교모지신), 是襄子失罰也(시양자실벌야)。
금지시키면 멈추는 법을 운영하였는데도 오히려 오만하여
군주를 멸시하는 신하가 있었다는 것은 양자가 잘못했기 때문이다.
爲人臣者(위인신자), 乘事而有功則賞(승사이유공즉상)。
신하가 어떤 일로 공을 세우면 군주는 그에게 포상을 해야 할 것인데도,
今赫僅不驕侮(금혁근불교모),
고혁이란 자가 오만하지 않고
而襄子賞之(이양자상지), 是失賞也(시실상야)。
군주를 멸시하지 않았다 해서 포상한 것은 상을 주는 법을 잘못 실시한 것이다.
明主賞不加於無功(명주상불가어무공),
현명한 군주의 시상법은 공이 없는 자에게는 상을 주지 않으며,
罰不加於無罪(벌불가어무죄)。
처벌법은 죄 없는 자는 벌하지 않는다.
今襄子不誅驕侮之臣(금양자불주교모지신),
그런데 양자는 오만하고 군주를 멸시한 신하를 처벌하지 않고
而賞無功之赫(이상무공지혁),
공이 없는 고혁에게 상을 주었다.
安在襄子之善賞也(안재양자지선상야)?
양자가 상을 올바르게 준 점이 어디 있는가.
故曰(고왈): 仲尼不知善賞(중니부지선상)。
그래서「공자는 올바른 시상법을 모른다」고 한 것이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六篇 論難(一) : 인의는 예의와 질서 안에서 존재한다. (0) | 2020.02.18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六篇 論難(一) : 충언도 예의가 있어야 한다. (0) | 2020.02.16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六篇 論難(一) : 군신관계는 타산관계이다 (0) | 2020.02.16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六篇 論難(一) : 모순(矛盾) , 몸으로 다스리지 마라 (0) | 2020.02.16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六篇 論難(一) : 논공행상은 정확해야 한다 (0) | 2020.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