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六篇論難一 : 사람은 쓰기 나름이다
- 韓非子 第36篇 論難(一)[9]-
韓宣王問於樛留(한선왕문어규류):
한나라 선왕이 규류에게 이렇게 물었다.
" 吾欲兩用公仲(오욕양용공중)· 公叔(공숙), 其可乎(기가호)? "
내가 공중과 공숙을 함께 쓰려고 하는데 괜찮겠는가.”
樛留對曰(규류대왈): " 昔魏兩用樓(석위양용루)·翟而亡西河(적이망서하),
“규류가 대답했다. “옛날 위나라는 누와 적을 함께 써서 서하를 잃었고,
楚兩用昭(초양용소)·景而亡鄢(경이망언)·郢(영)。
초나라는 소와 경을 함께 쓴 결과 언과 연을 잃었습니다.
今君兩用公仲(금군양용공중)·公叔(공숙),
그런데 군주께서 공중과 공숙을 함께 등용하여 쓰신다면,
此必將爭事而外市(차필장쟁사이외시),
그들은 반드시 권력다툼을 하고, 외국과 흥정하여 사리사욕을 취하게 될 것이며,
則國必憂矣(즉국필우의)。"
그렇게 되면 나라가 반드시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或曰(혹왈): 昔者齊桓公兩用管仲鮑叔(석자제선공양용관중포숙),
어떤 사람이 말했다. “옛날 제나라 환공은 관중과 포숙을 함께 썼고,
成湯兩用伊尹(성탕양용이윤) 仲虺(중훼)。
은나라 탕왕은 이윤과 중기를 함께 썼다.
夫兩用臣者國之憂(부양용신자국지우),
만일 두 사람의 신하를 함께 쓰는 것이 망국의 길이 된다고 하면,
則是桓公不覇(즉시환공불패), 成湯不王也(성탕불왕야)。
환공은 패왕이 될 수 없었을 것이며, 탕왕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湣王一用淖齒(민왕일용도치), 而身死乎東廟(이신사호동묘);
그런데 민왕은 요치 한 사람만을 사용했기 때문에 동묘에서 죽음을 당하였고,
主父一用李兌(주부일용이태), 減食而死(감식이사)。
주보는 이태 한 사람만을 사용했기 때문에 먹을 것이 없어서 굶어죽었다.
主有術(주유술),
군주가 정말 통치술을 터득하고 있다면,
兩用不爲患(양용불위환)
두 사람을 함께 쓴다하더라도 화가 발생하지 않지만,
無術(무술), 兩用則爭事而外市(양용즉쟁사이외시),
군주에게 통치술이 없이 두 사람을 함께 쓴다면 권력다툼을 할 것이며,
一則專制而劫弑(일즉전제이겁시)。
(외국과 거래하여 사리사욕을 취할 것이고,
통치술이 없이는 한 사람만을 쓴다하더라도 신하는 멋대로 놀아날 것이며, )
군주를 위협하거나 죽일 것이다.
今留無術以規上(금류무술이규상),
규류는 위로는 군주를 바로 섬길 줄 모르고
使其主去兩用一(사기주거양용일),
다만 두 사람을 함께 쓰지 말고 한 사람만을 쓰라고 했다.
是不有西河(시불유서하)·鄢(언)·郢之憂(영지우),
그렇게 되면 만일 서하, 언, 영을 잃을 염려는 없다 하더라도,
則必有身死(즉필유신사), 減食之患(감식지환)。
반드시 군주 자신이 죽음을 당하거나 굶어죽게 될 것이다.
是樛留未有善以知言也(시규류미유선이지언야)。
그렇다면 규류는 왕에게 견식이 있는 답변을 했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七篇論難二 : 실수를 덮으려 은혜를 베풀지 마라 (0) | 2020.02.20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七篇論難二 : 형벌은 다소가 아닌 당부가 중요하다 (0) | 2020.02.20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六篇 論難(一) : 법의 집행에는 신분이 필요 없다. (0) | 2020.02.1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六篇 論難(一) : 진정한 도움은 어떤 것인가 (0) | 2020.02.1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六篇 論難(一) : 인의는 예의와 질서 안에서 존재한다. (0) |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