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八篇論難三 : 정치란 무엇인가
- 韓非子 第38篇 論難(三)[4]-
葉公子高問政於仲尼(섭공자고문정어중니),
섭나라 공자(公子) 고가 공자(孔子)에게 정치를 물었다.
仲尼曰(중니왈): " 政在悅近而來遠(정재열근이래원)。"
공자가 말했다. “정치란 가까이 있는 자를 기쁘게 하며,
멀리 있는 자는 그리워서 따르도록 하는 것입니다.”
哀公問政於仲尼(애공문정어중니), 仲尼曰(중니왈):
애공이 공자에게 정치를 묻자, 공자가 대답했다.
" 政在選賢(정재선현)。"
“정치란 현인을 선택하는 일입니다.”
齊景公問政於仲尼(제경공문정어중니), 仲尼曰(중니왈):
제나라 경공이 공자에게 정치를 묻자, 공자가 대답했다.
" 政在節財(정재절재)。"
“정치란 경비를 절약하는 일입니다.”
三公出(공자출), 子貢問曰(자공문왈):
세 군주가 다녀간 다음 자공이 물었다.
" 三公問夫子政一也(삼공문부자정일야),
“세 군주가 다 같은 말을 물었는데,
夫子對之不同(부자대지부동), 何也(하야)? "
어찌 그에 대한 선생님의 대답이 모두 다른 것입니까.”
仲尼曰(중니왈): " 葉都大而國小(섭도대이국소),
공자가 대답했다. “섭나라는 서울이 크고, 주변 국토가 작은 데다가
民有背心(민유배심),
백성에게 모반심이 있다.
故曰(고왈) ‘ 政在悅近而來遠(정재열근이래원) ’。
그래서 정치란 가까이 있는 자를 기쁘게 해주고,
멀리 있는 자들이 그리워서 따르도록 하는 것이라고 한 것이다.
魯哀公有大臣三人(노애공유대신삼인),
노나라 애공에게는 세 명의 대신이 있어,
外障距諸侯四鄰之士(외장거제후사린지사),
밖으로는 이웃 나라에서 예방을 해오는 현인이 군주를 만나지 못하도록 하고,
內比周而以愚其君(내비주이이우기군),
안으로는 서로가 한 동아리가 되어 군주의 명(明)을 가리며,
使宗廟不掃除(사종묘불소제), 社稷不血食者(사직불혈식자),
종묘의 청소도 하지 않을뿐더러 사직의 제사를 모시지 않는 것도
必是三臣也(필시삼신야),
그 세 대신들 때문이다.
故曰(고왈) ‘ 政在選賢(정재선현)。’
그래서 정치는 현자를 선택하는 일이라고 한 것이다.
齊景公築雍門(제경공축옹문), 爲路寢(위로침),
제나라 경공은 옹문을 건축하고, 노침대를 만들며,
一朝而以三百乘之家賜者三(일조이이삼백승지가사자삼),
하루아침에 백승의 녹을 세 사람에게 주었다.
故曰(고왈) ‘ 政在節財(정재절재) ’。"
그래서 정치는 경비를 절약하는 것이라고 한 것이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八篇論難三 : 드러나는 공에 의해 등용하라 (0) | 2020.02.22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八篇論難三 : 악은 싹 트기 전에 잘라라 (0) | 2020.02.2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八篇論難三 : 3가지 어려운 일 (0) | 2020.02.2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八篇論難三 : 군주를 바꾸는 자는 믿지 못한다. (0) | 2020.02.2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八篇論難三 : 악행을 보고하지 않는 것은 잘못이다 (0) | 2020.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