策03秦策051-09 대와 상당은 진나라가 싸움 없이 얻을 수 있는 땅
趙氏(조씨), 中央之國也(중앙지국야),
趙나라는 중앙에 있는 나라이며
雜民之所居也(잡민지소거야).
각국 백성들이 뒤섞여 살고 있는 곳입니다.
其民輕而難用(기민경이난용),
그 백성은 경솔하여 부리기가 어렵고,
號令不治(호령불치),
나라의 법령은 잘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賞罰不信(상벌불신),
賞罰을 내려도 믿지 않으며
地形不便(지형불편),
지형도 수비하기에 좋지 않은 곳입니다.
上非能盡其民力(상비능진기민력).
그리고 윗사람들은 그 백성의 力量을 십분 이용하지 못하니,
彼固亡國之形也(피고망국지형야),
그러한 나라는 망할 수밖에 없는 형세입니다.
而不憂民氓(이불우민맹),
그런데도 백성을 걱정하지 않고
悉其士民(실기사민), 軍於長平之下(군어장평지하),
온 士民들을 모아 長平 아래에다 주둔시켜
以爭韓之上黨(이쟁한지산당),
한나라와 上黨 땅을 다투자
大王以詐破之(대왕이사파지),
대왕께서 詐術로써 이를 깨뜨리고
拔武安(발무안).
武安을 점령하셨습니다.
當是時(당시시), 趙氏上下不相親也(조씨상하불상친야),
그 당시 조나라는 상하가 서로 不親하였고,
貴賤不相信(귀천불상신),
貴‧賤이 서로 믿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然則是邯鄲不守(연즉시한단불수),
그래서 趙나라는 수도 한단(邯鄲)을 지킬 수 없었으니,
拔邯鄲(발한단), 完河間(완하간),
한단만 점령했더라면 河間 땅은 온전히 할 수 있었습니다.
引軍而去(인군이거), 西攻脩武(서공수무),
그리고는 군대를 이끌고 가 서쪽으로 修武를 공격했더라면
踰羊腸(유양장), 降代(강대)‧上黨(상당).
羊腸을 넘어 代 땅과 上黨을 항복시킬 수 있었을 것입니다.
代三十六縣(대삼십육현), 上黨十七縣(상당십칠현),
代 땅은 36개의 縣이 있고, 上黨 땅은 17개의 현이 있는데
不用一領甲(불용일령갑), 不苦一民(불고일민),
무기 하나 잃지 않고 백성 하나 고생시키지 않은 채
皆秦之有也(개진지유야).
이 많은 땅을 다 진나라 것으로 만들 수 있었을 것입니다.
代‧上黨不戰而已爲秦矣(대상당부전이이위진의).
代와 상당은 싸우지 않고도 이미 진나라 소유가 되었을 것이며
東陽(동양)河外(하외)不戰而已反爲齊矣(부전이이반위제의),
東陽과 河外는 齊나라가 싸우지 않고도 얻을 수 있는 땅이며,
中呼池(중호지)以北不戰而已爲燕矣(이북부전이이위연의).
또 中呼池 이북은 燕나라가 싸우지 않고 얻을 수 있는 땅입니다.
'戰國策' 카테고리의 다른 글
策03秦策051-11 진나라가 폐자가 되지 못한 세 가지. (0) | 2021.01.20 |
---|---|
策03秦策051-10 진이 폐업을 이루지 못한 것은 졸렬한 참모들 탓이다. (0) | 2021.01.20 |
策03秦策051-08 진나라가 패권을 잃은 세 번째 과오 (0) | 2020.12.29 |
策03秦策051-07 진나라가 패권을 잃은 두 번째 과오 (0) | 2020.12.29 |
策03秦策051-06 진나라가 패권을 잃은 첫 번째 과오 (0) | 202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