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第3篇 龍韜 第4章 立將[1]-
장수 임명과 출정식
武王問太公曰(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立將之道奈何」(입장지도내하)
“장수를 세우는 법은 어떻게 하는 것입니까.”
太公曰(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凡國有難, 君避正殿, (범국유난 군피정전)
“무릇 나라에 어려움이 있거든 임금은 정전을 피하고,
召將而詔之曰:(소장이조지왈)
장수를 불러 이에 조서를 내려 지시합니다.
『社稷安危, 一在將軍. (사직안위 일재장군)
「사직의 편안하고 위태한 것은 오로지 장군에게 달려있다.
今某國不臣,(금모국불신)
지금 신하노릇을 하지 않는 나라가 있으니,
願將軍帥師應之. 』(원장군사사응지)
원컨대 장군은 군사를 이끌고 이에 응하여야 할 것이다.」
將旣受命, 乃命太史鑽靈龜, (장기수명 내명태사찬영구)
장수가 이미 명령을 받았으면 태사에게 점칠 것을 명령합니다.
卜吉日. 齋三日, (복길일 제삼일)
재계하기를 사흘동안 하고,
至太廟, 以授斧鉞. (지태묘 이수부월)
종묘에 가서 신령스러운 거북을 뚫어 보아 좋은 날을 점쳐서 부월을 수여합니다.
君入廟門, 西面而立;(군입묘문 서면이립)
임금은 종묘 문을 들어가서 서쪽을 향하여 서고,
將入廟門, 北面而立. (장인묘문 북면이립)
장수는 종묘 문을 들어가 북쪽을 향하여 섭니다.
君親操鉞, 持首, (군친조월 지수)
임금이 손수 큰 도끼를 잡아 머리를 쥐고,
授將其柄, 曰:(수장기병 왈)
장수에게 그 자루를 주며 이릅니다.
『從此上至天者, 將軍制之. 』(종차상지천자 장군제지)
「이로부터 위로 하늘에 이르기까지 장군이 이를 제어하라.」
復操斧, 持柄, 授將其刃, 曰:(복조부 지병 수장기인 왈)
또 작은 도끼를 잡아 자루를 쥐고, 장수에게 그 날을 주며 이릅니다.
『從此下至淵者, 將軍制之. (종차하지연자 장군제지)
「이로부터 아래로 못에 이르기까지 장군이 이를 제어하라.
見其虛則進, 見其實則止. (견기허즉진 견기실즉지)
그 허함을 보거든 나아가고 그 알참을 보거든 멈출 것이다.
勿以三軍爲衆而輕敵, (물이삼군위중이경적)
3군으로서 많다하여 적을 가벼이 하지 말며,
勿以受命爲重而必死, (물이수명위중이필사)
명령을 받았다 하여 중히 여기고 반드시 죽음으로 받들려 하지 말며,
勿以身貴而賤人, (물이신귀이천인)
몸이 귀하다하여 사람을 낮춰보지 말 것이니,
勿以獨見而違衆, (물이독견이위중)
혼자의 의견으로 무리를 어기지 말며,
勿以辯說爲必然. (물이변설위필연)
재간 있는 말을 반드시 옳다 여기지 말 것이다.
士未坐勿坐, (사미좌물좌)
사졸이 앉기 전에는 앉지 말며,
士未食勿食, (사미식물식)
사졸이 먹기 전에는 먹지 말며,
寒暑必同. (한서필동)
추위와 더위를 반드시 함께 할 것이니
如此, 則士衆必盡死力. 』(여차 즉사중필진사력)
이처럼 하면 사졸들은 반드시 죽을힘을 다할 것이다.」”
'육도삼략[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4章 立將[3] (0) | 2012.04.17 |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4章 立將[2] (0) | 2012.04.17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3章 選將[4] (0) | 2012.04.17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3章 選將[3] (0) | 2012.04.17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3章 選將[2] (0) | 201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