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도삼략[完]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7章 陰符[1]

강병현 2012. 4. 18. 22:04

- 第3篇 龍韜 第7章 陰符[1]-

여덟 가지 부절

 

武王問太公曰(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引兵深入諸侯之地, (인병심입제후지지)

“군사를 이끌고 깊이 제후의 땅에 들어가서

三軍猝有緩急, 或利或害.(삼군졸유완급 혹리혹해)

삼군이 갑자기 더디고 급함이 있고, 혹은 이롭고 혹은 해로움을

吾將以近通遠, 從中應外,(오장이근통원 종중응외)

가까운 데서 멀리 통하게 하고, 안으로부터 밖으로 응하게 하여,

以給三軍之用. 爲之奈何」(이합삼군지용 위지내하)

삼군의 운용에 도움이 되게 하고자 하는데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太公曰(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主與將, 有陰符. 凡八等:(주여장 유음부 범팔등)

“임금과 장수 사이에 부절이 있는데 무릇 여덟 가지입니다.

有大勝克敵之符, 長一尺;(유대승극적지부 장일척)

크게 적을 이겨 승리한 부절은 길이가 한 자,

破軍殺將之符, 長九寸;(파군살장지부 장구촌)

군사를 파하고 장수를 죽인 부절은 길이가 아홉 치,

降城得邑之符, 長八寸;(항성득읍지부 장팔촌)

성을 항복받고 도읍을 얻은 부절은 길이가 여덟 치,

卻敵報遠之符, 長七寸;(각적보원지부 장칠촌)

적을 물리치고 멀리 보고하는 부절은 길이가 일곱 치,

誓衆堅守之符, 長六寸;(수중견수지부 장육촌)

무리를 경계하여 지킴을 굳게 하는 부절은 길이가 여섯 치,

請糧益兵之符, 長五寸;(청량익병지부 장오촌)

양곡을 청하고 군사를 더하라는 부절은 길이가 다섯 치,

敗軍亡將之符, 長四寸;(패군망장지부 장사촌)

싸움에서 패하고 장수마저 잃은 경우 부절은 길이가 네 치,

失利亡士之符, 長三寸. (실리망사지부 장삼촌)

이익을 잃고 사졸을 잃는 부절은 길이가 세 치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