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第3篇 龍韜 第11章 五音[3]-
공격방향을 점치는 법
其法以天淸淨, (기법이천정정)
“오음으로 적의 정황을 아는 법은 천기가 청량하고,
無陰雲風雨, (무음운풍우)
먹구름도 비바람도 없을 때를 이용하여
夜半遣輕騎, (야반견경기)
한밤중에 경기병을 파견
往至敵人之壘, (왕지적인지량)
적의 보루에 이르러서는
去九百步外, (거구백보외)
대체로 구백보 떨어진 곳에서
遍持律管當耳, (편지율관당이)
십이율의 관을 남김없이 귀에 대고,
大呼驚之. (대호경지)
그리고 적진을 향하여 큰 소리를 쳐서 적군을 놀라게 합니다.
有聲應管, (유성응관)
그러면 적진에서 반응하는 소리가 있어 관에 울립니다.
其來甚微;(기래심미)
그 소리가 들려오는 것이 대단히 미묘합니다.
角聲應管, (각성응관)
만일 각의 소리가 관에 반응해 왔을 때는
當以白虎;(당이백호)
각은 목이며, 목을 이기는 것은 금이므로,
금의 신 곧 백호의 방위와 시일로써 이를 공격해야 합니다.
徵聲應管, (치성응관)
만일 치의 소리가 관에 반응해 왔을 때는
當以玄武;(당이현무)
치는 화이며, 화를 이기는 것은 수이므로,
현무의 방위와 시일을 택하여 공격해야 합니다.
商聲應管, (상성응관)
만일 상의 소리가 관에 반응해 왔으면
當以朱雀;(당이주작)
상은 금이며, 금을 이기는 것은 화이므로 주작의 방위와 시일에 공격해야 합니다.
羽聲應管, (우성응관)
만일 우의 소리가 반응해 왔을 때는
當以勾陳;(당이구진)
우는 수이며, 수를 이기는 것은 토이므로,
구진의 방위와 시일을 골라서 공격해야 합니다.
五管聲盡不應者, 宮也, (오관성진불응자 궁야)
만일 오관의 소리가 그 어는 것도 반응하지 않으면 그것은 궁에 해당합니다.
當以靑龍. (당이청룡)
궁은 토이며, 토를 이기는 것은 목이므로
청룡의 방위와 시일을 골라 이를 쳐야 합니다.
此五行之符, (차오행지부)
이는 오행의 부험이며,
佐勝之徵, 成敗之機也.」(좌승지치 성패지기야)
승리로 이끄는 징후이며, 승패가 갈리는 기미입니다.”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말하였다.
「善哉.」(선재)
“참으로 좋은 방법입니다.”
'육도삼략[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12章 兵徵[1] (0) | 2012.04.21 |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11章 五音[4] (0) | 2012.04.20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11章 五音[2] (0) | 2012.04.20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11章 五音[1] (0) | 2012.04.20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10章 奇兵[9] (0) | 201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