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第3篇 龍韜 第12章 兵徵[2]-
승패를 미리 보는 법
凡三軍悅懌, (범삼군열족)
“모든 군사가 기뻐 만족하고,
士卒畏法, (사졸외법)
사졸들은 법령을 두렵게 여기고,
敬其將命;(경기장명)
장수의 명령은 삼가 잘 이행되며,
相喜以破敵, (상희이파적)
서로가 적을 쳐 무찌르는 것을 기뻐하며,
相陳以勇猛, (상진이용맹)
용맹에 대하여 논하며,
相賢以威武. (상현이위무)
서로 위무를 존중하는 것은
此强徵也. (차강징야)
다 그 군세가 강하다는 징조입니다.
三軍數驚, (삼군수경)
이에 반하여 전군이 자주 놀라 떠들며,
士卒不齊;(사졸부제)
사병들의 마음은 제각기 흩어지고
相恐以敵强, (상공이적강)
적의 강함을 두려워하며,
相語以不利. (상어이불리)
자기들 군사의 불리한 것을 서로 이야기하며,
耳目相屬, (이목상속)
사사로운 이야기가 많고
妖言不止, (요언부지)
불길한 유언비어가 그칠 새 없으며,
衆口相惑;(중구상혹)
각자가 서로 다른 이야기를 퍼뜨려서 현혹시키며,
不畏法令, (부외법령)
법령을 두려워하지 않고
不重其將. (부동기장)
장수를 존경하지 않는 것은
此弱徵也. (차약징야)
군세가 나약한 징후인 것입니다.
三軍齊整, (삼군제정)
전군이 드나드는 데 그 대오가 정연하여 질서가 있으며,
陣勢以固, 深溝高壘, (진세이고 심구고루)
진세는 견고하고, 해자는 깊고, 성의 누벽은 높고,
又有大風甚雨之利;(우유대풍심우지리)
때로 큰 바람이나 모진 비가 방어에 편리를 주며,
三軍無故, 旌旂前指;(삼군무고 정기전지)
전군에는 아무 사고도 없고, 깃발은 앞을 향해 나부끼며,
金鐸之聲揚以淸, (금탁지성양이청)
징소리는 높고 맑게 울리고,
鼙鼓之聲宛以鳴. (비고지성완이명)
기병이 마상에서 치는 북소리가 율동감 있게 울리면
此得神明之助, 大勝之徵也. (차득신명지조 대승지징야)
그 모두가 천우신조가 있어 크게 이길 징후입니다.
行陣不固, 旌旂亂而相繞, (행진불고 정기란이상요)
이에 반하여 대열과 진세가 견고하지 못하고, 깃발은 흩어져 얽히며,
逆大風甚雨之利, 士卒恐懼, (역대풍심우지리 사졸공구)
큰 바람과 모진 비를 잘 이용하지도 못하며, 병사들은 두려워 떨며,
氣絶而不屬;(기절이불속)
사기는 단절되고 연속되지 못하는가 하면
戎馬驚奔, 兵車折軸;(융마경분 병거절축)
군마는 놀라서 날뛰며, 병거는 굴대가 부러지고,
金鐸之聲下以濁, (금탁지성하이탁)
징소리는 낮고 탁하게 울리며,
鼙鼓之聲濕以沐. 此大敗之徵也. (비고지성습이목 차대패지징야)
마상의 북소리는 습하여 쳐도 울리지 않는 것은 크게 패할 징후인 것입니다.”
'육도삼략[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13章 農器[1] (0) | 2012.04.21 |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12章 兵徵[3] (0) | 2012.04.21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12章 兵徵[1] (0) | 2012.04.21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11章 五音[4] (0) | 2012.04.20 |
육도삼략 第3篇 龍韜 第11章 五音[3] (0) | 201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