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도삼략[完]

육도삼략 第4篇 虎韜 第2章 三陣

강병현 2012. 4. 23. 13:12

- 第4篇 虎韜 第2章 三陣 -

진 치는 법 세 가지

 

武王問太公曰 (무왕문태공왈)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凡用兵爲天陣 地陣 人陣, 奈何?」(범용병위천진 지진 인진 내하)

“용병하는 데 천진, 지진, 인진을 편다고 하는데 이는 무슨 뜻입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日月星辰斗杓, (일월성진두작)

“해, 달, 별, 북두칠성을

一左一右, (일좌일우)

혹은 왼쪽으로 하고 혹은 오른쪽으로 하며,

一向一背, 此謂天陣. (일향일배 차위천진)

혹은 이를 등지고 포진하는 등 하늘을 따르고 때에 응하는 것을

천진이라고 합니다.

丘陵水泉, (구릉수천)

구름과 물과 샘 등에도

亦有前後左右之利, 此謂地陣. (역유전후좌우지리 차위지진)

이를 앞으로 하고 뒤로 하며, 혹은 오른쪽으로

혹은 왼쪽으로 하는 유리한 형세가 있습니다. 이를 지진이라고 합니다.

用車用馬, (용거용마)

때로는 전차를 쓰고, 때로는 말을 쓰며,

用文用武, 此謂人陣.」 (용문용무 차위인진)

때로는 문으로써 계략을 쓰고, 때로는 무를 써서 전투하는 것을

인진이라고 합니다.”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말하였다.

「善哉.」 (선재)

“과연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