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第6篇 犬韜 第5章 均兵[3]-
전차와 기병의 체계와 전법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물었다.
「車騎之吏數與陣法, 奈何?」(거기지리수여진법 내하)
“전차와 기병에 쓰이는 장교의 수와 그 포진하는 방법은 어떠합니까.”
太公曰 (태공왈)
태공이 대답하였다.
「置車之吏數:(치거지리수)
“전차에 필요한 장교의 수는
五車一長, 十車一吏, (오거일장 십거일리)
다섯 대에 장(長) 한 사람, 열 대에 이(吏) 한 사람,
五十車一率, 百車一將. (오십거일솔 백거일장)
50대에 솔(率) 한 사람, 100대에는 장(將) 한 사람을 배치합니다.
易戰之法:(이전지법)
평탄한 땅에서의 전법은
五車爲列, 相去四十步, (오거위열 상거사십보)
5대의 전차를 일렬로 하고, 앞뒤 간격은 40보,
左右十步, 隊間六十步. (좌우십보 대간육십보)
좌우 간격은 10보, 대와 대의 간격은 60보가 되도록 합니다.
險戰之法:(험전지법)
험한 곳에서의 전법은
車必循道, (거필순도)
전차는 반드시 바른 도로를 따라 나아가도록 하고,
十車爲聚, 二十車爲屯, (십거위취 이십거위둔)
열 대를 한 취(聚)로 하고, 스무 대를 한 둔(屯)으로 하고,
前後相去二十步, 左右六步, (전후상거이십보 좌우육보)
앞뒤 간격은 20보, 좌우 간격은 6보,
隊間三十六步. 五車一長, (대간삼십육보 오거일장)
대와 대 사이는 36보로 하며, 다섯 대에 장(長) 한 사람,
縱橫相去一里, (종횡상거일리) 縱橫相去二里, (종횡상거이리)
세로와 가로의 간격은 1리로 하고,
各返故道. (각반고도)
전투가 끝나면 각기 온 길을 따라 돌아가도록 합니다.
置騎之吏數:五騎一長, (치기지리수 오기일장)
기병에서 쓰는 장교의 수는 5기에 장(長) 한 사람,
十騎一吏, 百騎一率, (십기일리 백기일솔)
10기에 이(吏) 한 사람, 100기에 솔(率)일명,
二百騎一將. (이백기일장)
200기에 한 사람의 장(將)을 둡니다.
易戰之法:(이전지법)
평탄한 곳에서의 전법은
五騎爲列, 前後相去二十步, (오기위열 전후상거이십보)
다섯 기를 한 열로 하여 전후의 간격 20보,
左右四步, 隊間五十步. (좌우사보 대간오십보)
좌우 간격 4보, 대와 대의 사이를 50보로 합니다.
險戰之法:(험전지법)
험한 곳에서의 전법은
前後相去十步, 左右二步, (전후상거십보 좌우이보)
전후의 간격 10보, 좌우 간격 2보,
隊間二十五步. (대간이십오보)
대와 대의 사이는 25보로 합니다.
三十騎爲一屯, 六十騎爲一輩. (삼십기위일둔 육십기위일배)
30기를 한 둔으로 하고, 60기를 한 배(輩)로 하며,
十騎一吏, 縱橫相去百步, (십기일리 종횡상거백보)
10기에 이(吏) 한 사람, 세로와 가로의 간격은 100보,
周環各復故處.」(주환각복고처)
싸움이 끝나면 한 바퀴 돌아서 본디의 장소로 돌아갑니다.”
武王曰 (무왕왈)
무왕이 말하였다.
「善哉.」(선재)
“참 좋은 방법입니다.”
'육도삼략[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7章 武騎士 (0) | 2012.05.17 |
---|---|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6章 武車士 (0) | 2012.05.17 |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5章 均兵[2] (0) | 2012.05.17 |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5章 均兵[1] (0) | 2012.05.17 |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4章 敎戰 (0) | 201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