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一篇 始計[04] 병법은 기만전술이다.
兵者,(병자) 詭道也. (궤도야)
병(兵)은 속임수이다.
故能而示之不能,(고능이시지불능)
능력이 있으면서도 능력이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用而示之不用, (용이시지불용)
혹은 필요하면서도 필요하지 않은 것처럼 위장을 한다.
近而視之遠,(근이시지원) 遠而示之近. (원이시지근)
가까운 곳을 노리면서도 먼 곳을 지향하는 것처럼 하고,
혹은 먼 곳을 노리면서도 가까운 곳을 지향하는 것처럼 한다.
利而誘之, (이이유지)
이롭게 하여 유인한다.
亂而取之, (난이취지)
혼란시켜서 취한다.
實而備之, (실이비지)
실하면 대비하라.
(적의 군비가 충실하면 서두르지 말고 대비를 하며,)
强而避之, (강이피지)
적이 강하면 정면충돌을 회피한다.
怒而撓之, (노이요지)
적을 분노하게 하여 혼란에 빠뜨리고,
卑而驕之, (비이교지)
혹은 저자세를 취하여 적을 교만하게 만든다.
佚而勞之, (일이노지)
상대가 쉬려고 하면 피로하게 만들고,
親而離之,(친이리지)
단합되어 있으면 분열시킨다.
攻其無備,(공기무비) 出其不意.(출기불의)
무방비상태로 있을 때 공격하고, 뜻하지 않았을 때 출격한다.
此兵家之勝,(차병가지승) 不可先傳也. (불가선전야)
이러한 기만술은 병법가의 승리하는 비결이며,
따라서 사전에 계획이 누설되어서는 안 된다.
'孫子兵法[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二篇 作戰[01] 전쟁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0) | 2012.09.20 |
---|---|
第一篇 始計[05] 승산이 있어야 한다. (0) | 2012.09.20 |
第一篇 始計[03] 비교의 일곱 가지 기준 (0) | 2012.09.19 |
孫子兵法;第一篇 始計[02] 전쟁의 다섯 가지 조건 (0) | 2012.09.19 |
孫子兵法;第一篇 始計[01] 전쟁은 국가의 중대사이다 (0) | 201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