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3.八佾編 9.근거가 있어야 증명 할 수 있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夏禮(하예)를 吾能言之,(오능언지)나
하나라 예를 내 말할 수 있으나
杞不足徵也, (기부족징야)며
기나라에 실증할 만한 증거가 불충분하고
殷禮(은례)를 吾能言之,(오능언지)나
은나라 예를 내 말할 수 있으나
宋不足徵也. (송부족징야)는
송나라에 실증할 만한 증거가 불충분하다.
文獻(문헌)이 不足故也.(부족고야)니
그는 문헌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니
足則吾能徵之矣.”(족즉오능징지의)라
충분하다면 내 능히 증거하리라.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3.八佾編 11.체제(褅祭)의 의미 (0) | 2012.10.24 |
---|---|
論語 3.八佾編 10.성의없는 제사는 무의미하다. (0) | 2012.10.24 |
論語 3.八佾編 8.바탕이 이루어져야 색칠을 할 수 있다. (0) | 2012.10.24 |
論語 3.八佾編 7.군자의 다툼 (0) | 2012.10.06 |
論語 3.八佾編 6.태산의 신이 임방만도 못하겠느냐? (0) | 201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