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법으로 상벌을 판단해야 한다.
- 韓非子 第6篇 有度[4]-
夫爲人主而身察百官, (부위인주이신찰백관)
군주가 백관을 관찰하는 데는
則日不足,(즉일부족) 力不給.(역불급)
시간이 부족하고 그러할 능력도 없다.
且上用目,(차상용목) 則下飾觀 (즉하식관)
더욱이 그가 눈여겨보려 하면 백관은 외양만을 꾸민다.
上用耳,(상용이) 則下飾聲 (즉하식성)
또 자기 귀로 직접 들어보려 하면 신하는 말을 꾸민다.
上用慮,(상용려) 則下繁辭.(즉하번사)
또 면밀하게 살피려 하면 신하는 혀끝을 놀려 군주의 판단을 그르친다.
先王以三者爲不足,(선왕이삼자위부족)
그래서 선왕은 사려와 귀와 눈 등을 가지고는 부족하다고 하였다.
故舍己能而因法數,(고사기능이인법수) 審賞罰.(심상벌)
자기 재능을 버리고 법으로써 상벌을 분명히 했던 것이다.
先王之所守要,(선왕지소수요)
선왕이 지킨 바는 간요(簡要)하였다.
故法省而不侵.(고법성이불침)
그리하여 법은 간략했지만 백성들은 범하지 않았고,
獨制四海之內,(독제사해지내) 聰智不得用其詐,(총지부득용기사)
홀로 4해안을 제어하여도, 총명하고 지혜 있는 사람도 간사한 꾀를 쓸 수가 없고
險躁不得關其佞,(험조부득관기영)
험조한 사람도 그 아첨하는 재주를 부리지 못하며
姦邪無所依.(간사무소의)
간사한 것이 기댈 곳이 없다.
遠在千里外,(원재천리외) 不敢易其辭(불감이기사)
멀리 천 리 밖에 있어도 감히 그 말을 바꾸지 못하며
勢在郎中,(세재낭중)
가까이 낭중에 있어도
不敢蔽善飾非(불감폐선식비)
감히 선을 덮어 가리거나 잘못을 좋게 꾸미지를 못한다.
朝廷群下,(조정군하)
조정의 군신은
直湊單微,(직주단미) 不敢相踰越.(불감상유월)
도당을 만들지 못하고 각자가 기밀을 지키며 월권을 행하지 않았었다.
故治不足而日有餘,(고치부족이일유여)
그래서 다스림이 부족하여도 날로 여유 있게 되었다.
上之任勢使然也.(상지임세사연야)
이유는 군주가 그 권위를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夫人臣之侵其主也,(부인신지침기주야) 如地形焉,(여지형언)
신하가 군주를 해치는 것은 지형의 변화처럼
卽漸以往,(기점이왕) 使人主失端,(사인주실단)
서서히 침식하는 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군주는 그 기미를 알 수 없으며,
東西易面而不自知.(동서역면이주자지)
방향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바뀌어도 스스로 알지 못합니다.
故先王立司南以端朝夕.(고선왕입사남이단조석)
그런 까닭에 선왕은 사남(司南:指南車)을 세워서 조석을 바로 잡았다.
(법에 의지하여 정과 사를 바로 잡았다.)
故明主使其群臣不遊意於法之外,(고명주사기군신불유어법지외)
그리하여 총명한 군주는 신하들이 법률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했고,
不爲惠於法之內,(불위혜어법지내)
법률안에서는 사사로움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動無非法.(동무비법)
모든 움직임은 법이 아닌 것이 없다.
法所以凌過遊外私也(법소이릉과유외사야)
법이 법을 능과(凌過)하여 법 밖에 높게 하는 것은 사(私)이다.
嚴刑,(엄형) 所以遂令懲下也.(소이수령징하야)
엄격한 형벌은 명령을 철저히 이행토록 하여 백성을 응징하는 것이며,
威不貸錯,(위부대착) 制不共門.(제불공문)
권위는 군주가 독점하고 신하에게 빌려주지 않으며,
威,(위) 制共,(제공) 則衆邪彰矣 (즉중사창의)
권력과 정치명령을 신하와 함께 행사하면 나쁜 일이 속출하고,
法不信,(법불신) 則君行危矣(즉군행위소)
또 법령이 믿을 수 없게 되면 군주의 지위가 위태해지며,
刑不斷,(형부단) 則邪不勝矣.(즉사불승의)
형벌이 애매하면 사악을 제지하지 못한다.
故曰: (고왈)
그러므로 옛말에 이런 말이 있다.
巧匠目意中繩,(교장목의중승)
「능숙한 목수는 눈짐작으로도 먹줄을 잘 칠 수 있지만,
然必先以規矩爲度(연필선이규거위도)
만일을 위하여 자나 수평에 의지한다.
上智捷擧中事,(상지첩거중사)
뛰어난 지혜가 있는 사람은 일을 빨리 처리해도 실수가 없지만
必以先王之法爲比.(필이선왕지법위비)
만일의 실수에 대비해서 선왕의 예에 따른다.」
故繩直而枉木斲,(고승지기왕목착)
따라서 먹줄은 반듯하므로 비뚤어진 나무는 그에 따라 잘라 내며,
準夷而高科削, (준이이고과삭)
수준기(대패)는 수평하므로 그에 따라 솟은 곳을 깎아 내는 것이다.
權衡縣而重益輕,(권형현이중익경)
저울이 정확하면 무거운 것을 덜어서 가벼운 것에 보태고
斗石設而多益少.(두석설이다익소)
말과 섬을 만들어 많은 것을 덜어서 적은 것에 보태준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非子한비자 第7篇제7편 이병二柄 : 상벌의 권한을 빌려주어서는 안 된다. (0) | 2012.11.14 |
---|---|
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법과 형벌은 공평하고 엄격해야 한다. (0) | 2012.11.12 |
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신하는 손과 같아야 한다. (0) | 2012.11.07 |
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나라를 신하들에게만 맡겨서는 안 된다 (0) | 2012.11.07 |
한비자韓非子 제6편第6篇 유도有度 : 질서가 없는 나라는 쇠약해진다 (0) | 201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