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6. 준사(竣事 : 재민 구호의 결산)
原文
賑事將畢(진사장필) 點檢始終(점검시종)
구제하는 일이 끝날 때에는 시종(始終)을 점검하고
所犯罪過(소범죄과) 一一省察.(일일성찰.)
범한 죄과를 낱낱이 살펴야 할 것이다.
自備之穀(자비지곡) 將報上司(장보상사)
스스로 갖춘 곡식을 상사(上司)에 보고하려 할 때에는
自査情實(자사정실) 毋敢虛張(무감허장)
스스로 정실(情實)을 살펴서 감히 거짓 기록하지 말아야 한다.
善與不善(선여불선) 其功其罪(기공기죄)
잘하고 잘못한 것과 공을 세우고 죄를 범한 것은
詳觀法令(상관법령) 斯可以自知矣(사가이자지의)
법령을 자세히 살펴보면 스스로 알 수 있을 것이다.
芒種之日(망종지일) 旣罷賑場(기파진장)
망종(芒種)날에 이미 진장을 파했으면
乃設罷賑之宴(내설파진지연) 不用妓樂(불용기락)
곧 파진하는 잔치를 베풀되 기악(妓樂)은 쓰지 말아야 한다.
是日(시일) 論功行賞(논공행상)
이날에 논공행상을 하고,
厥明日修簿報司.(궐명일수부보사.)
그 이튿날에는 장부를 정리하여 상사에 보고해야 한다.
大饑之餘(대기지여) 民之綿綴(민지면철)
크게 기근이 든 나머지 백성들의 초췌함이
如大病之餘(여대병지여) 元氣未復(원기미복)
중병을 치른 뒤에 원기를 회복하지 못한 것과 같으니
撫綏安集(무수안집) 不可忽也.(불가홀야.)
어루만져 안정시키는 일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註
준사(竣事) : 일을 끝내는 것.
진사(賑事) : 진휼에 관한 일.
장필(將畢) : 장차 끝내려는 것.
성찰(省察) : 살피는 것.
무감허장(毋敢虛張) : 감히 허장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
상관법령(詳觀法令) : 자세히 법령을 본다.
가이자지(可以自知) : 스스로 알 수 있다.
파진(罷賑) : 진휼을 끝내는 것.
기악(妓樂) : 기생과 풍류.
논공행상(論功行賞) : 공을 의논하고 상을 주는 것.
궐명일(厥明日) : 그 이튿날.
수부보사(修簿報司) : 장부를 정리하고 상사에 보고하는 것.
'牧民心書[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2. 귀장(歸裝 : 돌아가는 행장) (0) | 2014.05.08 |
---|---|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1. 체대(遞代 : 벼슬이 갈림) (0) | 2014.05.05 |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5. 보력(補力 : 힘을 보탬) (0) | 2014.05.05 |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4. 설시(設施 : 구호시설의 확충) (0) | 2014.05.05 |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3. 규모(規模 : 사랑의 정을 발휘) (0) | 201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