近思錄

卷一 道體 37. 인(인)이란 무슨 뜻일까?

강병현 2014. 5. 18. 21:09

卷一 道體 37. 인(인)이란 무슨 뜻일까?

 

伊川先生曰(이천선생왈)

이천 선생이 말하기를

義訓宜(의훈의)

“의는 의로 풀이하고

禮訓別(예훈별)

예는 별로 풀이하고

智訓知(지훈지)

지는 지로 풀이한다

仁當何訓(인당하훈)

그러면 인은 무엇이라고 해석해야 마땅할까

說者謂(설자위)

논하는 사람들은 말하기를

訓覺訓人(훈각훈인)

‘각’이라 풀이하고 ‘인’이라고 풀이하기도 한다

皆非也(개비야)

이것은 다 잘못이다

當合孔孟言仁處(당합공맹언인처)

공자와 맹자가 인을 말한 것을 종합하여

大槪硏窮之(대개연궁지)

그 대개를 연구해야 한다

二三歲得之(이삼세득지)

2, 3년 걸려 그 뜻을 안다고 해도

未晩也(미만야)

늦은 것은 아니다.”고 하셨다

 

                               <정씨유서(程氏遺書) 제이십사(第二十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