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二 爲學 29. 하늘이 내린 본분을 지키라.
父子君臣(부자군신) 天下之定理(천하지정리)
부자(父子)와 군신(君臣)은, 천하에 정해진 이치로서,
無所逃於天地之間(무소도어천지지간)
천지간에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安得天分(안득천분) 不有私心(불유사심)
하늘이 내린 본분을 지키고, 사사로운 마음이 없다면,
則行一不義(즉행일불의)
한 가지 불의의 일을 행하고,
殺一不辜(살일불고) 有所不爲(유소불위)
한 사람의 죄 없는 사람을 죽이는 일은, 할 수가 없는 일이다.
有分毫私(유분호사)
털끝만큼이라도 사사로운 마음이 있다면,
便不是王者事(편불시왕자사)
이것은 왕자(王者)의 일이 아니다.
<정씨유서(程氏遺書)> 제5(第五)
천분(天分)이란 하늘이 내린 분수(分數)이며 본분(本分)이다. 하늘이 준 본분을 지키고 사사로운 마음이 없다면 한 가지 불의로써 천하를 얻는 것 등은 왕이 된 자의 일이 아니라는 말이다. 따라서 천하를 다스리는 자는 오로지 공정하게 처신할 것을 경계한 것이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二 爲學 31. 정치를 논할 때에는 정치의 근본을 알아야 한다. (0) | 2014.08.20 |
---|---|
卷二 爲學 30. 성(性)과 기(氣)는 둘로 나눌 수 없다. (0) | 2014.08.05 |
卷二 爲學 28. 예악(禮樂)에 힘써 성심을 다하라. (0) | 2014.08.05 |
卷二 爲學 27. 책을 외우는 것과 널리 안다는 것의 차이. (0) | 2014.08.05 |
卷二 爲學 26. 증삼은 노둔함으로써 마침내 도를 얻었다. (0) | 2014.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