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7. 富歲子弟多賴(부세자제다뢰)
孟子曰富歲(맹자왈부세)엔
맹자가 말하기를 ‘풍년에는
子弟多賴(자제다뢰)하고
젊은 사람들이 대부분 얌전하고
凶歲(흉세)엔
흉년에는
子弟多暴(자제다폭)하나니
젊은 사람들이 대부분 포악한데
非天之降才爾殊也(비천지강재이수야)라
그것은 하늘이 재성을 부여한 것이 그렇게 달라서 그런 것은 아니다
其所以陷溺其心者然也(기소이함닉기심자연야)니라
그들의 마음을 빠지게 만든 것이 그렇게 되어지게 하는 것이다
今夫麰麥(금부모맥)을
이제 밀을
播種而耰之(파종이우지)하되
뿌리고 흙을 덮어주면
其地同(기지동)하며
땅이 같고
樹之時又同(수지시우동)하면
심은 때도 같아서
浡然而生(발연이생)하여
화짝 돋아나
至於日至之時(지어일지지시)하여
하지 때에 가서
皆熟矣(개숙의)나니
모두 여물게 되나니
雖有不同(수유불동)이나
다른 점이 있다 하더라도
則地有肥磽(칙지유비교)하며
그것은 땅이 비옥하고 토박한 차이가 있다거나
雨露之養(우로지양)과
빗물받는 것이나
人事之不齊也(인사지불제야)니라
사람의 손질이 같지 않다는 것 따위다
故(고)로
그러니
凡同類者擧相似也(범동류자거상사야)니
동류의 것이라면 모두 비슷한 것이다
何獨至於人而疑之(하독지어인이의지)리오
유독 사람에 있어서만 그 점을 의심하겠는가
聖人(성인)도
성인도
與我同類者(여아동류자)시니라
나와 동류의 사람인 것이다
故(고)로
그래서
龍子曰不知足而爲屨(룡자왈불지족이위구)라도
용자는 ’신을 발을 모를고 신을 삼아도
我知其不爲蕢也(아지기불위괴야)라하니
나는 그것이 삼태기는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고 말한 것이다
屨之相似(구지상사)는
신이 비숫한 것은
天下之足(천하지족)이
온 천하 사람의 발이
同也(동야)일새니라
같아서이다
口之於味(구지어미)에
입으로는 맛보는 맛에는
有同耆也(유동기야)하니
다 같이 좋아하는 것이다
易牙(역아)는
역아는
先得我口之所耆者也(선득아구지소기자야)라
먼저 내 입이 좋아하는 것을 안 사람이다
如使口之於味也(여사구지어미야)에
만약에 입으로 맛보는 맛에 있어서
其性(기성)이
그것을 느끼는 성이
與人殊(여인수)가
사람과 다른 것이
若犬馬之於我不同類也(약견마지어아불동류야)면
개와 말이 우리와 동류가 아닌 것 같은 정도로 남과 다르게 만든다면
則天下何耆(칙천하하기)를
온 천하의 사람들이 어찌 좋아서
皆從易牙之於味也(개종역아지어미야)리오
다들 역아가 맛보는 맛을 따라가겠는가
至於味(지어미)하여는
맛에 이르러서는
天下期於易牙(천하기어역아)하나니
온 천하가 역아게게 기대하는데
是(시)는
그것은
天下之口相似也(천하지구상사야)일새니라
온 천하 사람들의 입이 비슷하여서이다
惟耳(유이)로
귀 역시
亦然(역연)하니
그러하니
至於聲(지어성)하여는
음성에 이르러서는
天下期於師曠(천하기어사광)하나니
천하가 사광에게 기대하는데
是(시)는
그것은
天下之耳相似也(천하지이상사야)일새니라
온 천하 사람들의 귀가 비슷하여서이다
惟目(유목)로
눈
亦然(역연)하니
역시 그러하다
至於子都(지어자도)하여는
자오에 이르러서는
天下莫不知其姣也(천하막불지기교야)하나니
온 천하가 모두 그의 어여쁨을 아니
不知子都之姣者(불지자도지교자)는
자도의 어여쁨을 모르는 사람은
無目者也(무목자야)니라
눈이 없는 사람이다
故(고)로
그래서
曰口之於味也(왈구지어미야)에
입으로 맛보는 맛에는
有同耆焉(유동기언)하며
다같이 좋아하는 것이 있고
耳之於聲也(이지어성야)에
귀로 듣는 솔리에는
有同聽焉(유동청언)하며
다같이 듣기 좋아하는 것이 있고
目之於色也(목지어색야)에
눈으로 보는 색에는
有同美焉(유동미언)하니
다같이 아름답게 여기는 것이 있다고 하는 것이다
至於心(지어심)하여는
마음에 이르러서만은
獨無所同然乎(독무소동연호)아
유독 다 같이 옳다고 여기는 것인가
心之所同然者(심지소동연자)는
마음이 같다고 여기는 것은
何也(하야)오
무엇인가
謂理也義也(위리야의야)라
그것은 이이고 의이다
聖人(성인)은
성인들이
先得我心之所同然耳(선득아심지소동연이)시니
먼저 우리 마음이 옳다고 여기는 것을 알았다는 것 뿐이이다
故(고)로
그래서
理義之悅我心(리의지열아심)이
이와 의가 위 마음을 기쁘게 하는 것이
猶芻豢之悅我口(유추환지열아구)니라
마치 고기 요리가 우리 입을 기쁘게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맹자(孟子)[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9. 無或乎王之不智(무혹호왕지불지) (0) | 2014.08.21 |
---|---|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8. 牛山之木(우산지목) (0) | 2014.08.21 |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6. 乃若其情(내약기정) (0) | 2014.08.21 |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5. 先酌鄕人(선작향인) (0) | 2014.08.21 |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4. 食色性也(식색성야) (0) | 201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