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9. 無或乎王之不智(무혹호왕지불지)
孟子曰無或乎王之不智也(맹자왈무혹호왕지불지야)로다
맹자가 말하기를 ‘왕이 지혜롭지 못한 것을 이상하게 여기지 말 것이다
雖有天下易生之物也(수유천하이생지물야)나
천하에서 가장 쉬이 자라는 물건이 있은들
一日暴之(일일폭지)요
하루 동안 해를 쬐고
十日寒之(십일한지)면
열흘 동안 차게 하면
未有能生者也(미유능생자야)니
자라날 물건이 없으니
吾見(오현)이
내가 왕을 만나보지만
亦罕矣(역한의)요
그 기회는 역시 들물고
吾退而寒之者至矣(오퇴이한지자지의)니
내가 물러나면 그를 차게 하는 자가 오니
吾如有萌焉(오여유맹언)에
내가 싹트게 하 준다고 한들
何哉(하재)리오
무엇이 되겠는가
今夫奕之爲數(금부혁지위수)가
이제 바둑의 수는
小數也(소수야)나
대단치 않은 수이지마는
不專心致志(불전심치지)면
전심해서 거기에만 머리를 쓰지 않으면
則不得也(칙불득야)라
써 내지 못한다.
奕秋(혁추)는
혁추는
通國之善奕者也(통국지선혁자야)니
전국에서 바둑을 잘 두는 것으로 알려진 사람이다
使奕秋(사혁추)로
혁추를 시켜서
誨二人奕(회이인혁)이어든
두 사람에게 바둑을 가르치게 하는데
其一人(기일인)은
그 중의 한 사람은
專心致志(전심치지)하여
전심해서 거기에만 머리를 쓰고
惟奕秋之爲聽(유혁추지위청)하고
혁추의 말만을 듣고
一人(일인)은
한 사람은
雖聽之(수청지)나
그의 말을 듣는다고는 하지마는
一心(일심)에
한쪽 마음으로는 ,
以爲有鴻鵠將至(이위유홍곡장지)어든
기러기가 오게 되면 하고
思援弓繳而射之(사원궁격이사지)하면
활에 주살을 메어서 그것을 쏠 것을 생각한다면
雖與之俱學(수여지구학)이라도
이 사람은 앞의 사람과 함께 배운다고는 하지마는
弗若之矣(불약지의)나니
그 사람 만해지기는 못한다
爲是其智弗若與(위시기지불약여)아
그의 지혜가 같지 않기 때문인가
曰非然也(왈비연야)니라
그렇지는 않은 것이다
'맹자(孟子)[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11. 求放心(구방심) (0) | 2014.08.21 |
---|---|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10. 魚與熊掌(어여웅장) (0) | 2014.08.21 |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8. 牛山之木(우산지목) (0) | 2014.08.21 |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7. 富歲子弟多賴(부세자제다뢰) (0) | 2014.08.21 |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6. 乃若其情(내약기정) (0) | 201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