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孟子) 고자장구 하(告子章句 下) 8. 魯欲使愼子爲將軍(노욕사신자위장군)
魯欲使愼子(노욕사신자)로
노나라에서 신자에게
爲將軍(위장군)이러니
장군의 적을 주려고 하였다
孟子曰不敎民而用之(맹자왈불교민이용지)를
맹자가 말하기를 ‘백성들을 가르치지 않고 전투에 동원해다 쓰는 것은
謂之殃民(위지앙민)이니
백성들을 재앙에 빠뜨리는 것이라 하오
殃民者(앙민자)는
백성들을 재앙에 빠뜨리는 사람은
不容於堯舜之世(불용어요순지세)니라
요순의 세상에는 용납되지 못하였다
一戰勝齊(일전승제)하여
한 번 싸워서 제나라를 이겨
遂有南陽(수유남양)이라도
마침내 남양을 차지하게
然且不可(연차불가)하니라
된다 치더라도 안되오.’
愼子勃然不悅曰此則滑釐所不識也(신자발연불열왈차칙활리소부식야)로이다
신자는 마침내 남양을 차지하게 되더라도 안된다.‘ 신자은 발끈하고 기분 나빠하며 ’그런 것은 나 활리는 모르는 것이요.‘ 하고 말하자
曰吾明告子(왈오명고자)하리라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내가 명백하게 당신한데 일러 드리리다
天子之地方千里(천자지지방천리)니
천자의 땅은 사방 천리요
不千里(불천리)면
천리가 안되면
不足以待諸侯(부족이대제후)요
재후를 접하기에 부족하오
諸侯之地方百里(제후지지방백리)니
제후의 땅은 사방 백리요
不百里(불백리)면
백리가 안되면
不足以守宗廟之典籍(부족이수종묘지전적)이니라
종묘의 전적을 지키기에 부족하오,
周公之封於魯(주공지봉어노)에
주공이 노라에 봉해졌을 때에는
爲方百里也(위방백리야)니
사방 백리라고 하였소
地非不足(지비부족)이로되
땅이 모자라는 것은 아니었으나
而儉於百里(이검어백리)하며
백리로 줄였던 것이요
太公之封於齊也(태공지봉어제야)에
강태공이 제나라에 봉해졌을 때에도
亦爲方百里也(역위방백리야)니
역시 사방 백리라고 하였소
地非不足也(지비부족야)로되
땅이 모자랐던 것은 아니었으나
而儉於百里(이검어백리)하니라
백리라고 줄잡아서 말했던 것이요
今魯(금노)는
지금 노나라는
方百里者五(방백리자오)니
사방 백리 되는 것이 다섯이요
子以爲有王者作(자이위유왕자작)인댄
당신 생각으로는 왕자가 일어나면
則魯在所損乎(칙노재소손호)아
노나라는 땅을 줄일 것 같소
在所益乎(재소익호)아
늘여 받을 것 같소
徒取諸彼(도취제피)하여
그냥 저 나라에서 가져다가
以與此(이여차)라도
이 나라에 주는 일조차도
然且仁者不爲(연차인자불위)어든
인자한 사람은 하지 않거든
況於殺人以求之乎(황어살인이구지호)아
하물며 사람을 죽이고서 땅을 차지하기를 바라는가
君子之事君也(군자지사군야)는
군자가 임금을 섬기는데는
務引其君以當道(무인기군이당도)하여
힘써 자기 임금을 끌어다가 바른 길에 대주고
志於仁而已(지어인이이)니라
인에다 뜻을 둘 따름이요.
'맹자(孟子)[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孟子) 고자장구 하(告子章句 下) 10. 大貉小貉(대맥소맥) (0) | 2014.08.25 |
---|---|
맹자(孟子) 고자장구 하(告子章句 下) 9. 今之所謂良臣(금지소위양신) (0) | 2014.08.25 |
맹자(孟子) 고자장구 하(告子章句 下) 7. 逢君之惡(봉군지악) (0) | 2014.08.25 |
맹자(孟子) 고자장구 하(告子章句 下) 6. 先名實者(선명실자) (0) | 2014.08.25 |
맹자(孟子) 고자장구 하(告子章句 下) 5. 孟子居鄒(맹자거추) (0) | 201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