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료자[完]

尉繚子 經卒令(경졸령) 1[군대 편제의 세 가지 구분.]

강병현 2014. 8. 29. 05:33

尉繚子 經卒令(경졸령) 1[군대 편제의 세 가지 구분.]

 

經卒者,(경졸자)

경졸이라고 하는 것은,

以經令分之爲三分焉:(이경령분지위삼분언)

군대 편제를 구분하기 위한 규정에 의해 셋으로 나눕니다.

左軍蒼旂,(좌군창기) 卒戴蒼羽;(졸대창우)

좌군은 푸른색 깃발에 푸른색 깃을 머리에 꽂도록 하며,

右軍白旂,(우군백기) 卒戴白羽;(졸대백우)

우군은 흰 깃발에 흰 깃을 꽂으며,

中軍黃旂,(중군황기) 卒戴黃羽.(졸대황우)

중군은 노란 깃발에 노란 깃을 꽂습니다.

卒有五章:(졸유오장)

사졸들에게는 다섯 가지 휘장이 있습니다.

前一行蒼章,(전일행창장)

맨 앞줄은 푸른 휘장을 사용하며

次二行赤章,(차이행적장) 次三行黃章,(차삼행황장)

둘째 줄은 붉은 휘장을 셋째 줄은 노란 휘장을

次四行白章,(차사행백장) 次五行黑章.(차오행흑장)

넷째 줄은 흰 휘장을 다섯째 줄은 검은 휘장으로 합니다.

次以經卒,(차이경졸)

이러한 차례에 맞추어 군대를 편성하되

亡章者有誅,(망장자유주)

그 휘장을 잃어버린 자는 처벌 받습니다.

前一五行,(전일오행) 置章於首;(치장어수)

그리고 맨 앞쪽 다섯줄은 그 휘장을 머리에 매고,

次二五行,(차이오행) 置章於項;(치장어항)

둘째 번 다섯줄은 이를 목에 걸며

次三五行,(차삼오행) 置章於胸;(치장어흉)

셋째 번 다섯줄은 이를 가슴에 달며

次四五行,(차사오행) 置章於腹;(치장어복)

넷째 번 다섯줄은 이를 배에 매며

次五五行,(차오오행) 置章於腰.(치장어요)

다섯째 번 다섯줄은 이를 허리에 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