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莊子)[完]

莊子 雜篇 33. 천하(天下) 8. 명가(名家)의 사상.

강병현 2016. 8. 25. 17:04

莊子 雜篇 33. 천하(天下) 8. 명가(名家)의 사상.

 

 

不累於俗(불루어속)하며 不飾於物(불식어물)하며

세속적인 일에 방해받지 않고, 물건을 장식하지 않고,

 

不苛於人(불가어인)하며 不忮於衆(불기어중)하야서

남에게 가혹하게 하지 않고, 여러 사람들에게 거스르지 않는다.

 

願天下之安寧(원천하지안녕)하야以活民命(이활민명) 하야

천하가 안락하여 백성들이 잘 생활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人我之養(인아지양)畢足而止(필족이지)하야

그리고 나와 모든 사람들의 의식이 풍족해져야만 만족한다.

 

以此白心(이차백심)하니

이런 생각으로 자기의 마음을 깨끗이 하려는 것이다.

 

古之道術(고지도술)有在於是者(유재어시자)어늘

옛날 도술을 닦은 사람들 중에 이런 경향을 지녔던 사람들이 있었다.

 

宋鈃尹文(송견윤문)聞其風而悅之(문기풍이열지) 하니라

송견과 윤문이 이런 학설을 듣고 좋아했다.

 

作爲華山之冠(작위화산지관)하야

그들은 위아래가 평평한 화산의 관을 만들어 씀으로써

 

以自表(이자표) 하고

자기들의 마음이 균등히 고름을 표시했다.

 

接萬物(접만물)호대以別宥(이별유) 爲始(위시) 하며

그들은 만물을 놓고서 그것들의 한계를 구별하는 데서 학문을 출발했다.

 

語心之容(어심지용) 하야

그리고 마음이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것에

 

命之曰心之行(명지왈심지행)이라하니라

이름을 붙여 마음의 덕이라 했다.

 

以聏(이이)合驩(합환) 하야

서로 친숙함으로써, 다 같이 기쁘게 함으로써

 

以調海內(이조해내)하야

온 세상을 조화시키고자 했다.

 

請欲置之以爲主(청욕치지이위주) 하야

그리고 정욕을 적게 갖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삼았다.

 

見侮不辱(견모불욕)으로

모욕을 당해도 치욕으로 생각하지 않고

 

救民之鬪(구민지투) 하며

백성들 사이의 싸움을 없애려 했다.

 

禁攻寢兵(금공침병) 으로

공격을 금하고 무기를 없앰으로써

 

救世之戰(구세지전) 하야서

세상의 전쟁을 없애려 했다.

 

以此(이차)周行天下(주행천하) 하야

이러한 주장을 온 천하에 두루 유행시키려고

 

上說下敎(상설하교) 하야

위로는 설교하고 아래로는 가르쳤다.

 

雖天下不取(수천하불취) 라도

비록 세상 사람들이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强聒而不舍者也(강괄이불사자야)

쉬지 않고 억지로 시끄럽게 떠들어댔던 것이다.

 

()曰上下見厭而强見也(왈상하견염이강견야)라하나니라

그러므로 위아래 사람들이 모두 싫어하는데도

억지로 자기의 주장을 내세운다고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