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대신 죽이게 한다
- 韓非子 第31篇 內儲說(下) 六微:似類[301]-
齊中大夫有夷射者, (제중대부유이사자)
제나라의 중대부로 이사라는 자가 있었다.
御飮於王, (어음어왕)
어느 날 왕이 베푼 잔치에 참석하였다가
醉甚而出, (취심이출) 倚於郎門。(의어낭문)
술에 만취되어 복도에 나와 문에 기대어 있었다.
門者刖跪請曰: (문자월궤청왈)"
그 때 형벌로 다리가 잘린 문지기가 졸랐다.
足下無意賜之餘隸乎? "(족하무의사지여례호)
“먹다 남은 찌꺼기라도 좋으니 조금만 주십시오.”
夷射叱曰: (이사질왈)
이사는 문지기를 나무랐다.
" 去! (거) 刑餘之人, (형여지인)
“시끄럽다. 죄를 지어 벌을 받은 주제에
何事乃敢乞飮長者! "(하사내감걸음장자)
어디서 함부로 버릇없이 구느냐? 윗사람에게 술을 달라고 조르다니..”
刖跪走退。(월궤주퇴) 及夷射去, (급이사거)
다리가 없는 문지기는 재빨리 사라졌으나 이사가 그 자리를 떠나자
刖跪因捐水郎門霤下, (월궤인연수낭문류하) 類溺者之狀。(류닉자지상)
다시 나타나서 마루 끝에 물을 뿌려 마치 오줌을 싼 것처럼 해 놓았다.
明日, (명일) 王出而訶之, (왕출이가지) 曰: (왈)" 誰溺於是? "(수닉어시)
이튿날 왕이 이것을 보게 되었다. “이 곳에 소변을 본 것이 누구이냐?”
刖跪對曰: (월궤대왈)" 臣不見也。(신부견야)
문지기는 대답했다. “잘은 모르겠으나,
雖然, (수연) 昨日中大夫夷射 (작일중대부이사) 立於此。(립어차)"
어제 중대부께서 여기에 서 계셨습니다.”
王因誅夷射而殺之。(왕인주이사이살지)
왕은 그 말을 듣고 이사를 처형하였다.
魏王臣二人不善濟陽君, (위왕신이인부선제양군)
위나라 왕의 신하 중에 제양군과 사이가 좋지 않은 두 사람이 있었다.
濟陽君因僞令人矯王命而謀攻己。(제양군인위령인교왕명이모공기)
그래서 제양군은 일부러 어떤 자에게 왕명이라 하여 자기를 공격하도록
수작을 꾸며 놓고, 그것을 왕이 알도록 해두었다.
王使人問濟陽君曰: (왕사인문제양군왈)"
수작을 모르는 왕은 사람을 보내어 제양군에게 알아보도록 했다.
誰與恨? "(수여한)
“그대는 누구와 원수진 일이 없는가.”
對曰: (대왈)" 無敢與恨。(무감여한)
제양군이 대답했다. “그럴 리 없습니다.
雖然, (수연) 嘗與二人不善, (상여이인부선)
그러나 그 두 분과는 평소부터 사이가 좋지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不足以至於此。(부족이지어차)
그렇다고 나를 죽이려고까지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 王問左右, (왕문좌우) 左右曰: (좌우왈)" 固然。"(고연)
왕이 좌우의 신하에게 물어 보았으나 모두가 긍정했기 때문에
王因誅二人者。(왕인주이인자)
마침내 두 사람을 사형에 처했다.
季辛與爰騫相怨。(계신여원건상원)
계신과 원헌은 서로 미워하고 있었다.
司馬喜新與季辛惡, (사마희신여계신악)
사마희 또한 계신을 미워하고 있었다.
因微令人殺爰騫, (인미령인살원건)
그래서 사람을 시켜 원헌을 죽이게 했다.
中山之君以爲季辛也, (중산지군이위계신야) 因誅之。(인주지)
중산의 군주는 계신이 원헌을 죽인 것으로 알고 계신을 사형에 처했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돕는 듯 제거한다. (0) | 2019.12.23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돕는 척 제거한다. (0) | 2019.12.1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애매한 점을 이용하라 (0) | 2019.12.1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이익이 있으면 적끼리도 돕는다. (0) | 2019.12.17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사욕을 위해 나라를 판다 (0) | 2019.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