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돕는 듯 제거한다.
- 韓非子 第31篇 內儲說(下) 六微:似類[303]-
費無極,(비무극) 荊令尹之近者也。(형령윤지근자야)
비무극은 초나라 영윤의 측근이었는데
郄宛新事令尹,(극완신사령윤) 令尹甚愛之。(령윤심애지)
극원이 새로 영윤을 섬기게 되어 총애를 받고 있었다.
無極因謂令尹曰:(무극인위령윤왈)
무극은 원한을 품고 영윤에게 말했다.
" 君愛宛甚,(군애완심)
“극원을 매우 마음에 들어 하시니,
何不一爲酒其家?(하부일위주기가) "
한번 그의 집에서 잔치를 베풀게 하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令尹曰:(령윤왈) " 善。(선)"
영윤이 말하기를 “그거 좋겠구나”
因令之爲具於郄宛之家。(인령지위구어극완지가)
영윤은 무극을 시켜 극원의 집에서 술자리를 열도록 지시했다.
無極敎宛曰:(무극교완왈)
무극이 극원에게 귀띔을 해주었다.
" 令尹甚傲而好兵,(령윤심오이호병)
“영윤은 매우 오만한 분으로 무기를 좋아하시니
子必謹敬,(자필근경) 先亟陳兵堂下及門庭。(선극진병당하급문정)"
안방에서 사랑채까지 무기를 진열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宛因爲之。(완인위지)
극원은 무극이 귀띔한 대로 실행을 했다.
令尹往而大驚, (령윤왕이대경) 曰:(왈) " 此何也?(차하야) "
영윤이 극원의 집에 와 그 광경을 보고 크게 놀라며 물었다. “어찌된 일인가.”
無極曰:(무극왈) " 君殆,(군태) 去之!(거지) 事未可知也。"(사미가지야)
무극이 대답했다. “조심하셔야 하겠습니다. 빨리 물러나십시오. 위험합니다.”
令尹大怒,(령윤대노) 擧兵而誅郄宛,(거병이주극완) 遂殺之。(수살지)
영윤은 크게 노하여 군사를 동원하여 극원을 공격하여 그를 살해하고 말았다.
犀首與張壽爲怨,(서수여장수위원)
위나라 서수는 장수와 사이기 좋지 못했다.
陳需新入,(진수신입) 不善犀首,(부선서수)
또 진수는 새로 위나라를 섬기게 되었는데 서수와 사이가 좋지 못했다.
因使人微殺張壽。(인사인미살장수)
그래서 진수는 사람을 시켜 장수를 암살했다.
魏王以爲犀首也,(위왕이위서수야) 乃誅之。(내주지)
위왕은 서수의 소행이라고 판단하고 곧장 그를 처벌했다.
中山有賤公子,(중산유천공자) 馬甚瘦,(마심수) 車甚弊。(거심폐)
중산에 지위가 낮은 공자가 있었다. 수레도 보잘 것 없었다.
左右有私不善者,(좌우유사부선자)
왕의 시종 가운데 그 공자와 사이가 좋지 않은 자가 있었다.
乃爲之請王曰:(내위지청왕왈)
그 시종이 어느날 왕에게 소원을 말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 公子甚貧,(공자심빈) 馬甚瘦,(마심수)
“공자는 가난하고 말도 형평이 없습니다.
王何不益之馬食?(왕하부익지마식) "
왕께서는 왜 말을 사료를 늘려주지 않으십니까.”
王不許。(왕부허)
그러나 왕은 허락을 하지 않았다.
左右因微令夜燒芻廐。(좌우인미령야소추구)
그러자 시종은 밤중에 창고에 불을 놓았다.
王以爲賤公子也,(왕이위천공자야) 乃誅之。(내주지)
왕은 그것이 공자가 한 일인 것으로 알고 그를 벌했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서로의 이해는 상반된다. (0) | 2019.12.23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남의 이익을 빌어 나의이익을 챙긴다. (0) | 2019.12.23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돕는 척 제거한다. (0) | 2019.12.1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대신 죽이게 한다 (0) | 2019.12.1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애매한 점을 이용하라 (0) | 201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