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주었다가 빼앗지 마라
- 韓非子 第31篇 內儲說(下) 六微:參疑[502]-
楚成王商臣爲太子,(초성왕상신위태자 )
초나라 성왕은 상신을 태자로 책봉했었는데,
旣而又欲置公子職。(기이우욕치공자직)
그 후 공자의 직을 주려고 생각했다.
商臣作亂,(상신작난) 遂攻殺成王。(수공살성왕)
그러자 상신은 반란을 일으켜 성왕을 죽였다.
一曰:(일왈)
일설에 의하면 이렇다.
" 楚成王以商臣爲太子,(초성왕이상신위태자)
초나라 성왕은 상신을 태자로 책봉했었는데,
旣欲置公子職。(기욕치공자직)
그 후 공자의 직을 주려고 했다.
商臣聞之,(상신문지) 未察也,(미찰야)
상신은 이 소문을 들었지만 확실치가 않았다.
乃爲其傅潘崇曰:(내위기부반숭왈)
그래서 몸종인 반숭에게 물었다.
" 奈何察之也? "(나하찰지야 )
“어떻게 하면 확실하게 알 수 있겠느냐.”
潘崇曰:(반숭왈)
반숭이 대답했다.
" 饗江芉而勿敬也。"(향강간이물경야)
“누이인 강미를 불러 일부러 무례한 짓을 하여 보십시오.”
太子聽之。( 태자청지)
태자는 그대로 했다.
江芉曰: (강간왈)
그러자 강미가 말했다.
" 呼, 役夫!(호 역부) 宜君王之欲廢女而立職也。(의군왕지욕폐녀이립직야)"
“임금께서 너 따위에게 자리를 물려줄 줄 아느냐. 어림도 없다.”
商臣曰:(상신왈) " 信矣。(신의)"
상신은 말했다. “소문이 사실이구나.”
潘崇曰:(반숭왈) " 能事之乎? (능사지호)"
반숭이 말했다. “태자께서는 이대로 임금님을 섬길 수 있겠습니까.”
曰:(왈) " 不能。(부능)"
“그렇게는 못한다.”
" 能爲之諸侯乎? (능위지제후호)"
“그럼 다른 나라로 도망치시겠습니까.”
曰:(왈) " 不能。(부능)"
“그것도 못하겠다.”
" 能擧大事乎? "(능거대사호)
“그렇다면 거사를 하실 수 있겠습니까.”
曰:(왈) " 能。(능)"
상신이 말했다. “그것은 할 수 있다.”
於是乃起宿營之甲而攻成王。(어시내기숙영지갑이공성왕)
상신은 태자궁의 근위병을 이끌고 성왕을 공격했다.
成王請食熊膰而死,(성왕청식웅번이사) 不許,(부허) 遂自殺。(수자살)
성왕은 마침내 자살하고 말았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인사관리를 밝게 하라 (0) | 2020.01.11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좋아하면 위태롭다 (0) | 2020.01.0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가까운 사람을 경계하라 (0) | 2020.01.0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세력을 혼동하지 마라 (0) | 2020.01.0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세 가지 죽을 죄 (0) | 202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