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세력을 혼동하지 마라
- 韓非子 第31篇 內儲說(下) 六微:參疑[500]-
有反四參疑之勢,(유반사삼의지세) 亂之所由生也,(난지소유생야)
세력이 혼동되어 다투는 것은 내란의 원인이 된다.
故明主愼之。(고명주신지)
그래서 현명한 군주는 그러한 사태를 경계한다.
是以晉驪姬殺太子申生,(시이진려희살태자신생)
진나라 여희는 태자 신생을 죽였고,
而鄭夫人用毒藥,(이정부인용독약)
정나라 부인은 군주를 독살했으며,
衛州吁殺其君完, (위주우살기군완)
위나라 주우는 그 군주인 완을 죽였고,
公子根取東周,(공자근취동주)
공자 근은 동주를 빼앗았고,
王子職甚有寵而商臣(왕자직심유총이상신)
왕자 직이 총애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상신이 난을 일으켰으며,
果作亂,(과작난) 嚴遂(엄수) · 韓廆爭而哀公果遇賊,(한외쟁이애공과우적)
엄수와 한회가 싸웠기 때문에 애후는 도적에게 죽음을 당했으며,
田常(전상) · 闞止(감지) ·
전상과 감지가 서로 적대시하다가 제나라 간공을 죽였고,
戴驩(대환)· 皇喜敵而宋君(황희적이송군) · 簡公殺。(간공살)
대환과 황희가 적대시하여 송군이 죽음을 당했다.
其說在狐突之稱 (기설재호돌지칭)" 二好(이호) ",
그에 대한 예증으로는 호돌이
「여색을 좋아하고 미천한 여자를 좋아하는 일은 다 같이 해롭다」고 말했고,
與鄭昭之對(여정소지대) " 未生(미생) " 也。(야)
정조가「모친에 대한 총애가 다른 곳으로 옮겨지면
태자가 있어도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라고 말한 일이 있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주었다가 빼앗지 마라 (0) | 2020.01.08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가까운 사람을 경계하라 (0) | 2020.01.08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세 가지 죽을 죄 (0) | 2020.01.07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이익이 있는 자가 범인이다 (0) | 2020.01.07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一篇 내저설하內儲說下 : 반대급부를 노린다. (0) | 202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