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쓸모없는 것에 연연하지 마라
- 韓非子 第32篇 外儲說(左上)[201]-
宋人有請爲燕王以棘刺之端爲母猴者,(송인유청위연왕이극자지단위모후자)
송나라 사람 중에 나무의 가시 끝에 원숭이 암컷을 만들어 바치겠다고
연왕에게 신청해온 자가 있었다.
必三月齋然後能觀之。(필삼월재연후능관지)
그리고 3개월 동안 목욕재계를 한 다음 그 원숭이를 보아야 한다고 했다.
燕王因以三乘養之。(연왕인이삼승양지)
연왕은 그에게 3승의 땅을 주었다.
右御冶工言王曰:(우어야공언왕왈)
그러자 궁궐 안의 대장장이가 이렇게 말했다.
" 臣聞人主無十日不燕之齋。(신문인주무십일부연지재)
“제가 보기에 임금님께서 열흘 동안이나 술자리를 폐하실 까닭이 없습니다.
今知王不能久齋以觀無用之器也,(금지왕부능구재이관무용지기야)
그 송나라 사람은 임금님께서 그토록 오래 동안을 재계하면서까지
쓸모없는 물건을 구경할 생각은 하지 않을 것이라 짐작하고
故以三月爲期。(고이삼월위기)
3개월이라는 기한을 정했을 것입니다.
凡刻削者,(범각삭자) 以其所以削必小。(이기소이삭필소)
그리고 더욱이 나무의 가시 끝에 원숭이를 만들어 붙인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今臣冶人也,(금신야인야) 無以爲之削,(무이위지삭)
此不然物也,(차부연물야) 王必察之。(왕필찰지)
한번 조사해 보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王因囚而問之,(왕인수이문지) 果妄,(과망) 乃殺之。(내살지)
왕이 그 송나라 사람을 체포하여 조사한 결과
대장장이의 말이 사실이었으므로 사형에 처하고 말았다.
冶又謂王曰:(야우위왕왈)
대장장이는 왕에게 또 이렇게 말했다.
"計無度量,(계무도량)
“물건을 다는데 저울을 사용하지 않으면,
言談之士多(언담지사다) ‘ 棘刺(극자) ’ 之說也。"(지설야)
마치 나무의 가시 끝에 원숭이를 만들어 붙이겠다는
엉터리와 같은 결과가 됩니다.”
一曰:(일왈) 燕王徵巧術人。(연왕징교술인)
일설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나라 왕은 자질구레한 세공품을 좋아했다.
衛人請以棘刺之端爲母猴。(위인청이극자지단위모후)
어느 날 위나라 사람이 와서 말했다.
“저는 나무의 가시 끝에 암원숭이를 조각할 수 있습니다.”
燕王說之,(연왕설지) 養之以五乘之奉。(양지이오승지봉)
연왕은 그 인물이 마음에 들어 5승의 녹을 주었다.
王曰:(왕왈)
잠시 후에 왕이 말했다.
" 吾試觀客爲棘刺之母猴。(오시관객위극자지모후)"
“나무의 가시 끝에 암원숭이를 조각한 것을 꼭 보고 싶다.”
客曰:(객왈) " 人主欲觀之,(인주욕관지)
위나라 사람이 말했다. “임금님께서 그것을 꼭 보고 싶으시면,
必半歲不入宮,(필반세부입궁)
적어도 반년 동안은 후궁들의 방에 들어가시면 안 되며,
不飮酒食肉。(부음주식육)
또 그동안 음주와 육식을 삼가셔야 하며,
雨霽日出,(우제일출) 視之晏陰之間,(시지안음지간)
그리고 비가 그치고 햇볕이 쨍쨍 날 때에 그늘에서 보시면
而棘刺之母猴乃可見也。(이극자지모후내가견야)
가시 끝에 반드시 암원숭이가 보일 것입니다.”
"燕王因養衛人,(연왕인양위인) 不能觀其母猴。(부능관기모후)
그러나 연왕은 암원숭이를 볼 수가 없었다.
鄭有臺下之冶者謂燕王曰:(정유대하지야자위연왕왈)
그러자 한 대장간 영감이 연왕에게 이렇게 진언했다.
" 臣爲削者也。(신위삭자야)
“저는 끌을 만드는 자입니다.
諸微物必以削削之,(제미물필이삭삭지)
아무리 작은 조각이라 할지라도 끌로 파기 마련이고,
而所削必大於削。(이소삭필대어삭)
또 깎이는 조각품은 끌보다 크기 마련입니다.
今棘刺之端不容削鋒,(금극자지단부용삭봉) 難以治棘刺之端。(난이치극자지단)
王試觀客之削,(왕시관객지삭) 能與不能可知也。(능여부능가지야)"
그러므로 나무의 가시 끝에는 끌질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王曰:(왕왈) " 善。(선)"
왕은 그 말을 인정하고
謂衛人曰:(위위인왈)
위나라 사람에게 물었다.
" 客爲棘削之。(객위극삭지)"
“네가 가시 끝에 조각을 하는 데 쓰는 연장은 무엇이냐.”
曰:(왈) " 以削。(이삭)"
위나라 사람이 대답했다.“끌로 합니다.”
王曰:(왕왈) " 吾欲觀見之。(오욕관견지)"
왕이 말했다. “그 끌을 보여줄 수 있겠느냐.”
客曰:(객왈) " 臣請之舍取之。(신청지사취지)" 因逃。(인도)
위나라 사람은 숙소에 가서 가지고 오겠다고 말하고는 달아나버렸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있을 수 없는 일을 믿어 신하를 죽이다 (0) | 2020.02.02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원칙이 있으면 함부로 말하지 못한다. (0) | 2020.02.0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실용성이 없는 것은 버려라 (0) | 2020.02.0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좋은 약은 입에 쓰다 (0) | 2020.02.0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화려함 보다 실용이 중요하다 (0) | 202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