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있을 수 없는 일을 믿어 신하를 죽이다
- 韓非子 第32篇 外儲說(左上)[203]-
客有敎燕王爲不死之道者,(객유교연왕위부사지도자)
연나라 왕에게 죽지 않는 도를 가르쳐 주겠다는 나그네가 있었다.
王使人學之,(왕사인학지)
왕은 사람을 시켜 그 도를 배우도록 했다.
所使學者未及學而客死。(소사학자미급학이객사)
그런데 다 배우기도 전에 그 나그네가 죽어버렸다.
王大怒,(왕대노) 誅之。(주지)
왕은 화가 나서 배워오도록 보냈던 자를 죽여 버렸다.
王不知客之欺己,(왕부지객지기기)
왕은 나그네가 자기를 기만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고,
而誅學者之晩也。(이주학자지만야)
배우러 간 사람이 빨리 배우지 못했다 해서 처벌한 것이다.
夫信不然之物而誅無罪之臣,(부신부연지물이주무죄지신)
있을 수도 없는 일을 믿어 죄 없는 신하를 처벌한 것은
不察之患也。(부찰지환야)
사태를 볼 줄 아는 총명함이 없기 때문이다.
且人所急無如其身,(차인소급무여기신)
인간에게 가장 소중한 것은 자기 몸이다,
不能自使其無死,(부능자사기무사) 安能使王長生哉?(안능사왕장생재)
그런데 자기 몸도 불로장생하지 못하면서 어찌 남에게 가르칠 수 있단 말인가.
鄭人有相與爭年者。(정인유상여쟁년자)
정나라 사람 중에 자기가 연장자라고 서로 우기는 자들이 있었다.
一人曰:(일인왈) " 吾與堯同年。(오여요동년 )"
그 가운데 한 사람이 이렇게 말했다. “나는 요임금과 동갑이다.”
其一人曰:(기일인왈) " 我與黃帝之兄同年。(아여황제지형동년)"
다른 한 사람이 말했다. “그렇다면 나는 황제의 형과 동갑이다.”
訟此而不決,(송차이부결)
이 일로 소송까지 했으나 결말이 나지 않았다.
以後息者爲勝耳。(이후식자위승이)
이러한 일은 마지막까지 우기는 자가 승리하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구멍 뚫을 수 없는 표주박은 쓸모가 없다 (0) | 2020.02.02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귀신을 그리는 것이 쉽다 (0) | 2020.02.0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원칙이 있으면 함부로 말하지 못한다. (0) | 2020.02.0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쓸모없는 것에 연연하지 마라 (0) | 2020.02.0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실용성이 없는 것은 버려라 (0) | 202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