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원칙이 있으면 함부로 말하지 못한다.
- 韓非子 第32篇 外儲說(左上)[202]-
兒說,(아설) 宋人,(송인) 善辯者也,(선변자야)
아열은 송나라 사람으로 웅변가였다.
持(지) " 白馬非馬也(백마비마야) " 服齊稷下之辯者。(복제직하지변자)
백마는 말이 아니라는 지론을 가지고 제나라 웅변가들을 꼼짝 못하게 하고 있었다.
乘白馬而過關,(승백마이과관) 則顧白馬之賦。(칙고백마지부)
그런데 그는 백마를 타고 국경을 통과할 때, 마세를 내지 않으면 안 되었다.
故籍之虛辭,(고적지허사) 則能勝一國,(칙능승일국)
이런 사실로 볼 때, 공론으로는 고을 사람들을 이길 수 있지만
考實按形,(고실안형) 不能謾於一人。(부능만어일인)
사실을 고찰하고 형상을 조사하게 되면 검문소의 한 관리조차 속일 수가 없다.
夫新砥礪殺矢,(부신지려살시) 彀弩而射,(구노이사)
날카로운 화살로 쏠 때, 설사 눈을 감고 아무렇게나 쏜다 하더라도,
雖冥而妄發,(수명이망발) 其端未嘗不中秋毫也,(기단미상부중추호야)
이 화살이 때로는 가을에 자란 터럭만한 물건에 명중할 수도 있을 것이다.
然而莫能復其處,(연이막능복기처) 不可謂善射,(부가위선사)
그러나 같은 물건을 두 번씩이나 맞출 수는 없을 것이므로
훌륭한 사수라고 볼 수는 없다.
無常儀的也。(무상의적야)
일정한 과녁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設五寸之的,(설오촌지적) 引十步之遠,(인십보지원) 非羿(비예) · 逢蒙(봉몽)
다섯 치의 표적을 열 걸음 물러나서 쏘게 되면, 예나 봉몽이 아닌 이상,
不能必全者,(부능필전자) 有常儀的也。(유상의적야)
백발백중하지 못하는 것은 일정한 표적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有度難而無度易也。(유도난이무도역야)
무슨 일이든지 법도가 있으면 하기 어렵고, 법도가 없으면 하기 쉽다.
有常儀的,(유상의적) 則羿(칙예) · 逄蒙以五寸爲巧;(방몽이오촌위교)
일정한 표적이 있으면,
예나 봉몽이 다섯 치의 표적을 맞추어도 활을 명수라 할 수 있지만
無常儀的,(무상의적) 則以妄發而中秋毫爲拙。(칙이망발이중추호위졸)
일정한 표적이 없으면 아무렇게나 쏘아 터럭 같이 작은 물건을 맞추었다 할지라도
서툴다고 말하게 된다.
故無度而應之,(고무도이응지) 則辯士繁說;(칙변사번설)
그러므로 이 편에 법도가 없으면 상대편은 멋대로 떠들지만
設度而持之,(설도이지지) 雖知者猶畏失也,(수지자유외실야) 不敢妄言。(부감망언)
법도가 있으면 실언하지 않을까 두려워 아무렇게나 지껄이지 않을 것이다.
今人主聽說,(금인주청설) 不應之以度而說其辯;(부응지이도이설기변)
그런데 요즘의 군주가 말을 듣는 태도는 법도에 따라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不度以功,(부도이공) 譽其行而不入關。(예기항이부입관)
그 웅변을 좋아하고 또 공로에 따라서 인물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 행위만을 칭찬한다.
此人主所以長欺,(차인주소이장기)
그러므로 군주는 언제나 웅변가에게 속게 되고,
而說者所以長養也。(이설자소이장양야)
웅변가들은 언제까지나 군주에게 녹을 얻어먹게 되는 것이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귀신을 그리는 것이 쉽다 (0) | 2020.02.02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있을 수 없는 일을 믿어 신하를 죽이다 (0) | 2020.02.0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쓸모없는 것에 연연하지 마라 (0) | 2020.02.0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실용성이 없는 것은 버려라 (0) | 2020.02.0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좋은 약은 입에 쓰다 (0) | 202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