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四篇 外儲說(右上) : 무위로 자신의 속을 숨겨라
- 韓非子 第34篇 外儲說(右上)[202]-
田子方問唐易鞠曰(전자방문당역국왈):
전자방이 당이국에게 물었다.
" 弋者何愼(익자하신)? "
“주살로 새를 잡는 데는 무엇을 가장 주의를 해야 하는가.”
對曰(대왈): " 鳥以數百目視子(조이삭백목시자),
당이국이 대답했다. “새는 수백 개의 눈으로 당신을 응시하고 있습니다.
子以二目御之(자이이목어지), 子謹周子廩(자근주자름)。"
그러나 당신은 두 눈으로 겨누게 되니, 몸을 숨기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田子方曰(전자방왈): " 善(선)。子加之弋(자가지익),
전자방이 말했다. “알았다. 그대는 새를 잡는데 주살을 사용하지만
我加之國(아가지국)。"
나는 나라를 통치하는데 그 방법을 사용하겠다.”
鄭長者聞之(정장자문지)
정나라의 어떤 사람이 이 말을 듣고 말했다.
曰(왈): " 田子方知欲爲廩(전자방지욕위름),
“전자방은 숨어 있는 장소를 만드는 일에 대해서는 알고 있지만,
而未得所以爲廩(이미득소이위름)。
그 것을 어떻게 하는지 그 방법에 대해서는 모른다.
夫虛無無見者(부허무무견자), 廩也(름야)。"
대체로 허심탄회하여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밖에서 볼 때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처신하는 것이 숨는 방법이다.”
一曰(일왈): 齊宣王問弋於唐易子曰(제선왕문익어당역자왈):
일설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제나라 선왕이 주살에 대해서 당이자에게 물었다.
"弋者奚貴(익자해귀)?"
“주살로 새를 잡는데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唐易子曰(당역자왈): "在於謹廩(재어근름)。"
당이자가 말했다. “숨을 곳에 주의하면 됩니다.”
王曰(왕왈): "何謂謹廩(하위근름)? "
선왕이 다시 물었다. “숨을 곳을 주의하라니 무슨 뜻인가.”
對曰(대왈): " 鳥以數十目視人(조이삭십목시인),
당이자가 대답했다. “새는 수십 개의 눈으로 사람을 보지만 사람은
人以二目視鳥(인이이목시조), 奈何其不謹廩也(나하기부근름야)?
두 눈으로 새를 봄으로, 결국은 숨을 곳에 주의해야 합니다.
故曰(고왈) ‘ 在於謹廩(재어근름) ’ 也(야)。"
그래서 숨을 곳이 중요하다고 말씀을 드린 것입니다.”
王曰(왕왈): " 然則爲天下何以異此廩(연칙위천하하이이차름)?
선왕이 말했다. “그렇다면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도 그 방법과 다를 것이 없겠구나.
今人主以二目視一國(금인주이이목시일국),
군주는 두 눈으로 나라를 내다보고 있는데
一國以萬目視人主(일국이만목시인주),
백성은 몇 만의 눈으로 군주를 노려보고 있다.
將何以自爲廩乎(장하이자위름호)? "
그러면 숨을 곳은 어디인가.”
對曰(대왈):
당이자가 대답했다.
" 鄭長者有言曰(정장자유언왈):
“정나라 사람은「생각컨대,
‘ 夫虛靜無爲而無見也(부허정무위이무견야 )。’
허심탄회하여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밖에서 볼 때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다」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其可以爲此廩乎(기가이위차름호)! "
그것이 숨을 곳이라 생각됩니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四篇 外儲說(右上) : 귀걸이로 왕의 마음을 떠보다 (0) | 2020.02.11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四篇 外儲說(右上) : 속을 보이면 이익을 챙기려 한다. (0) | 2020.02.11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四篇 外儲說(右上) : 무위만이 남의 속을 엿볼 수 있다 (0) | 2020.02.11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四篇 外儲說(右上) : 나는 보이지 말고 상대방을 보라 (0) | 2020.02.11 |
[한비자韓非子]第三十四篇 外儲說(右上) : 날개 잘린 새는 사람을 따른다. (0) | 2020.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