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선례에 얽매이지 마라
- 韓非子 第35篇 外儲說(右下)[302]-
潘壽謂燕王曰(반수위연왕왈):
반수가 연나라 왕에게 말했다.
" 王不如以國讓子之(왕부여이국양자지)。
“왕께서는 이 나라를 자지에게 양위하시는 것이 가장 좋으실 것입니다.
人所以謂堯賢者(인소이위요현자), 以其讓天下於許由(이기양천하어허유),
사람들이 요를 현자라고 하는 것은 요가 천하를 허유에게 양위했기 때문입니다.
許由必不受也(허유필부수야),
그러나 허유는 도무지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則是堯有讓許由之名(칙시요유양허유지명)
요는 허유에게 천하를 양위했다는 좋은 이름은 얻었으면서
而實不失天下也(이실부실천하야)。
실제로 천하를 잃지는 않았던 것입니다.
今王以國讓子之(금왕이국양자지),
지금 왕께서 이 나라를 자지에게 양위하신다 하더라도
子之必不受也(자지필부수야),
자지가 듣지 않을 것은 물론입니다.
則是王有讓子之之名(칙시왕유양자지지명)
그렇게 되면 왕께서는 자지에게 천하를 양위하셨다는 미명을 얻을 수 있고,
而與堯同行也(이여요동항야)。"
더욱이 그 결과는 요의 경우와 같을 것입니다.”
於是燕王因擧國而屬之(어시연왕인거국이속지),
그래서 연나라 왕은 국정을 모두 자지에게 위임했기 때문에
子之大重(자지대중)。
자지의 권세가 크게 확장되었다.
一曰(일왈):
일설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潘壽(반수), 隱者(은자)。 燕使人聘之(연사인빙지)。
반수는 은자였는데 연나라 왕이 사람을 보내어 그를 초빙했다.
潘壽見燕王曰(반수견연왕왈):
반수는 연왕을 만나자 이렇게 말했다.
" 臣恐子之之如益也(신공자지지여익야)。"
“나는 자지가 익과 같은 운명이 되지 않을까 염려가 됩니다.”
王曰(왕왈): " 何益哉(하익재)? "
왕이 물었다. “무슨 뜻입니까.”
對曰(대왈): " 古者禹死(고자우사), 將傳天下於益(장전천하어익),
반수가 대답했다. “옛날 우임금이 임종 때, 천하를 익에게 주려고 하자,
啓之人因相與攻益而立啓(계지인인상여공익이립계)。
우임금의 아들인 계의 일당은 결속하여 익을 공격하였고, 계를 옹립했었습니다.
今王信愛子之(금왕신애자지), 將傳國子之(장전국자지),
그런데 지금 왕께서는 자지를 믿고 사랑하시며 나라를 양위하시려고 해도
太子之人盡懷印(태자지인진회인),
태자의 일당은 관직을 지키며,
爲子之之人無一人在朝廷者(위자지지인무일인재조정자)。
자지의 일파를 조정안에 얼씬도 못하게 할 것입니다.
王不幸棄群臣(왕부행기군신), 則子之亦益也(칙자지역익야)。"
그래서 왕이 작고하시게 되면 자지는 익과 같은 운명이 될 것입니다.”
王因收吏璽(왕인수리새), 自三百石以上皆效之子之(자삼백석이상개효지자지),
연왕은 이 말을 듣자, 녹 3백석 이상의 관인을 회수하여 자지에게 내주었다.
子之大重(자지대중)。
그리하여 자지의 권세는 회복되어 확대된 것이다.
夫人主之所以鏡照者(부인주지소이경조자), 諸侯之士徒也(제후지사도야),
군주가 자기를 비추어 보는 거울이 되는 것은 제후의 태도이다.
今諸侯之士徒皆私門之黨也(금제후지사도개사문지당야)。
그런데 오늘날의 제후나 그 신하는 모두가 권문의 도당에 불과하다.
人主之所以自羽翼者(인주지소이자우익자), 巖穴之士徒也(암혈지사도야),
또 군주가 자기의 날개로 믿고 있는 것은 동굴 속에 들어 있는 선비들이다.
今巖穴之士(금암혈지사) 徒皆私門之舍人也(도개사문지사인야)。是何也(시하야)?
그런데 오늘날 그들 선비는 모두가 권문의 종에 불과하다.
奪褫之資在子之也(탈치지자재자지야)。
그것은 왜 그렇게 되느냐 하면 생살여탈의 권한이
자지의 손안에 들어 있기 때문이다.
故吳章曰(고오장왈):
그래서 오장은 말했다.
" 人主不佯憎愛人(인주부양증애인)。
“군주는 조금이라도 사람을 사랑하거나 미워해서는 안 된다.
佯愛人(양애인), 不得復憎也(부득복증야);
사람을 사랑하는 척이라도 하게 되면 이미 그를 미워할 수가 없게 되며,
佯憎人(양증인), 不得復愛也(부득복애야)。"
미워하는 척이라도 하게 되면 그 사람을 사랑할 수도 없게 되는 것이다.”
一曰(일왈): 燕王欲傳國於子之也(연왕욕전국어자지야),
일설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나라 왕이 나라를 자지에게 전해주려고
問之潘壽(문지반수), 對曰(대왈):
그 일에 관해서 반수에게 상의를 했더니 반수가 이렇게 말했다.
" 禹愛益而任天下於益(우애익이임천하어익),
“우는 익을 사랑한 나머지 천하를 익에게 주는 한편,
已而以啓人爲吏(이이이계인위리)。
태자인 계의 일당을 관리로 임명했습니다.
及老(급노), 而以啓爲不足任天下(이이계위부족임천하),
우가 노년이 되어 태자인 계에게 천하를 맡길 수 없다고 생각하고
故傳天下於益(고전천하어익),
천하를 익에게 계승시켰습니다.
而勢重盡在啓也(이세중진재계야)。
그런데 권세가 완전히 계의 것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已而啓與友黨攻益而奪之天下(이이계여우당공익이탈지천하),
계는 그 도당과 결속하여 익을 공격하여
익이 우에게서 이어받은 천하를 빼앗고 말았습니다.
是禹名傳天下於益(시우명전천하어익),
이것을 생각해 볼 때, 우는 명목상으로는 천하를 익에게 계승하여 주었으나
而實令啓自取之也(이실령계자취지야),
실제로는 태자인 계가 차지한 것이 됩니다.
此禹之不及堯(차우지부급요)·舜明矣(순명의)。
이렇게 보면 우가 요나 순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今王欲傳之子之(금왕욕전지자지),
지금 왕께서는 천하를 자지에게 양도하려 하십니다만
而吏無非太子之人者也(이리무비태자지인자야),
관리들 가운데는 태자의 일당이 아닌 자가 없습니다.
是名傳之而(시명전지)
그 점으로 볼 때 명의상으로는 천하를 자지에게 주고
實令太子自取之也(이실령태자자취지야)。"
그 실은 태자 자신이 차지하는 셈이 되는 것입니다.”
燕王乃收璽(연왕내수새), 自三百石以上皆效之子之(자삼백석이상개효지자지),
그래서 연왕은 3백석 이상의 관인을 모두 회수하여 자지에게 넘겨주었더니
子之遂重(자지수중)。
그의 권세가 확실한 것이 되었다고 한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애증을 표시하지 마라 (0) | 2020.02.13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권위와 권력을 빌려주지 마라 (0) | 2020.02.13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외부 인사의 말을 믿지 마라 (0) | 2020.02.13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실권을 위임하지 마라 (0) | 2020.02.13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남에게 의지하지 마라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