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기술로 다스려야 한다.
- 韓非子 第35篇 外儲說(右下)[403]-
造父方耨(조부방누), 得有子父乘車過者(득유자부승거과자),
조보가 말에게 먹일 꼴을 베고 있을 때 마차를 타고 가는 부자가 있었다.
馬驚而不行(마경이부항),
그런데 말이 무엇에 놀라 우뚝 멈추므로
其子下車牽馬(기자하거견마), 父子推車(부자추거),
자식은 마차에서 내려 앞에서 말을 끌고, 그 아비는 뒤에서 마차를 밀었다.
請造父助我推車(청조부조아추거)。
그래도 움직이지 않으므로 조보에게 협조를 요청해 왔다.
造父因收器(조부인수기), 輟而寄載之(철이기재지),
그래서 조보는 농기구를 치우고
援其子之乘(원기자지승), 乃始檢轡持筴(내시검비지협),
마차에 올라가서 부자를 싣고 채찍을
未之用也(미지용야), 而馬轡驚矣(이마비경의)。
들고만 있었는데도 마차는 달려갔다.
使造父而不能御(사조부이부능어),
만일 조보에게 말을 다루는 기술이 없었더라면
雖盡力勞身助之推車(수진력노신조지추거), 馬猶不肯行也(마유부긍항야)。
부자와 힘을 합하여 마차를 밀었더라도 말은 달리려 하지 않았을 것이다.
今使身佚(금사신일), 且寄載(차기재),
그런데 몸을 편히 하고 그 몸을 마차에 실은 채로
有德於人者(유덕어인자), 有術而御之也(유술이어지야)。
사람에게 은혜를 베풀 수 있었던 것은 말을 다루는 기술이 있었기 때문이다.
故國者(고국자), 君之車也(군지거야);
국가가 군주의 수레에 해당된다면
勢者(세자), 君之馬也(군지마야)。
권세는 군주의 말에 해당된다.
無術以御之(무술이어지), 身雖勞(신수노),
군주에게 그것을 다루는 기술이 없으면 아무리 고생을 하더라도
猶不免亂(유부면란);
국가는 수습되지 않을 것이다.
有術以御之(유술이어지), 身處佚樂之地(신처일낙지지),
그러나 다루는 기술을 터득하고 있으면 일신상 평안한 지위에 있으면서
又致帝王之功也(우치제왕지공야)。
제왕의 대업을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채찍은 뒤에서 쳐라 (0) | 2020.02.16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법의 권한을 뺏기면 위태롭다 (0) | 2020.02.16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직접 다스리지 마라 (0) | 2020.02.13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나무를 흔들려면 밑둥치를 흔들어라 (0) | 2020.02.13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右下) : 항아리 물은 큰불을 끄지 못한다.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