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一 道體 7、하늘의 명(命)을 성(性)이라 한다. 卷一 道體 7、하늘의 명(命)을 성(性)이라 한다. 伊川先生曰(이천선생왈) 이천선생이 말씀하시기를, 天所賦爲命(천소부위명) “하늘이 부여해 준 것은 명령(命)이고, 物所受爲性(물소수위성) 만물이 받은 것은 본성(性)이다.”고 하셨다 <이천역전(伊川易傳) 건괘(乾卦)단전편(彖傳篇)>.. 近思錄 2014.05.15
卷一 道體 6、사덕(四德)의 원(元)과 오상(五常)의 인(仁) 卷一 道體 6、사덕(四德)의 원(元)과 오상(五常)의 인(仁) 伊川先生曰(이천선생왈) 이천선생이 말씀하시기를, 四德之元(사덕지원) “네 가지 덕 중에서 원은 猶五常之仁(유오상지인) 오상의 인과 같다 偏言則一事(편언칙일사) 한편으로 치우쳐 말하면 인은 오상의 한 가지이지만 專言則包.. 近思錄 2014.05.15
卷一 道體 5、건(乾)이란 무엇인가? 卷一 道體 5、건(乾)이란 무엇인가? 伊川先生曰(이천선생왈) 이천선생이 말씀하시기를, 乾天也(건천야) “건은 하늘이다 天者健之形體(천자건지형체) 하늘이라는 것은 건의 형체요 乾者天之性情(건자천지성정) 건이라고 하는 것은 하늘의 성정이다 乾健也(건건야) 건은 하늘의 주위를 도.. 近思錄 2014.05.15
卷一 道體 4、체(體)와 용(用) 卷一 道體 4、체(體)와 용(用) 伊川先生曰(이천선생왈) 이천선생이 말씀하시기를, 心一也(심일야) “마음은 하나다 有指體而言者(유지체이언자) 체의 면을 가리켜 말하는 수도 있고, 有指用而言者(유지용이언자) 용의 면을 가리켜 말하는 수도 있다 惟觀其所見如何耳(유관기소견여하이) .. 近思錄 2014.05.15
卷一 道體 3、중(中)과 화(和)란 무엇인가? 卷一 道體 3、중(中)과 화(和)란 무엇인가? 伊川先生曰(이천선생왈) 이천선생이 말씀하시기를, 喜怒哀樂之未發(희노애락지미발) “희, 노, 애, 락이 아직 나타나지 않은 상태 謂之中(위지중) 이것을 가리켜 중이라고 한다 中也者(중야자) 중이라는 것은 言寂然不動者也(언적연부동자야) 고.. 近思錄 2014.05.15
卷一 道體 2、무위(無爲)가 외물과 감응하여 선악이 생겨난다. 卷一 道體 2、무위(無爲)가 외물과 감응하여 선악이 생겨난다. 濂溪先生曰(렴계선생왈) 염계선생이 말씀하시기를 誠無爲(성무위) “진실로 아무것도 함이 없더라도 幾善惡(기선악) 움직이려는 찰나에 선악이 나누어 지는 것이다. 德愛曰仁(덕애왈인) 덕의 속성 중에서 사랑의 원리를 인 .. 近思錄 2014.05.15
卷一 道體 1、태극(太極)에서 음양(陰陽)이 나온다. 卷一 道體 1、태극(太極)에서 음양(陰陽)이 나온다. 濂溪先生曰(염계선생왈) 주렴계 선생은 말씀하시기를, 無極而太極(무극이태극) “무극이 곧 태극이다. 太極動而生陽(태극동이생양) 태극이 움직여서 양을 낳고 動極而靜(동극이정) 그 움직임이 극도에 이르면 고요해진다. 靜而生陰(정.. 近思錄 201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