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친 엄함과 결백은 생명력이 없다.【前集 061】 지나친 엄함과 결백은 생명력이 없다. 【前集 061】 學者要有段兢業的心思, 학자요유단긍업적심사, 又要有段瀟洒的趣味。 우요유단소쇄적취미。 若一味斂束淸苦, 약일미렴속청고, 是有秋殺無春生, 시유추살무춘생, 何以發育萬物。 하이발육만물。 학문하는 사람은 모름지기 일단 .. 菜根譚[完] 2012.05.19
삼략三略 상략上略[5] 강약을 적절히 써야한다 삼략三略 상략上略[5] 강약을 적절히 써야한다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能柔能剛, (능유능강) 「부드러움과 굳음을 때에 따라 적당히 쓰게 되면 其國彌光;(기국미광) 그 나라는 점차 빛을 낸다. 能弱能强, (능약능강) 약함과 강함을 때에 따라 적당히 쓸 때에 其國彌.. 육도삼략[完] 2012.05.19
삼략三略 상략上略[4] 핵심을 좇아 응수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4] 핵심을 좇아 응수하라 故曰:(고왈) 옛말에 莫不貪强, (막불탐강) 「사람은 모두 강할 것을 탐하고 있으나, 鮮能守微, (선능수미) 미묘한 도를 지킬 수 있는 자는 적다」 고 하였다. 若能守微, (약느수미) 만약 미묘한 도를 지킬 수 있다면 乃保其生. (내보기생) 자.. 육도삼략[完] 2012.05.19
삼략三略 상략上略[3] 사물에 대처하여 변하라 삼략三略 상략上略[3] 사물에 대처하여 변하라 端末未見, (단말미견) 무릇 천하의 일은 그 처음이나 끝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을 때는 人莫能知. (인막능지) 보통사람은 그것을 알 도리가 없다. (일의 처음과 끝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을 때에 그 기미를 보고 그것을 알 수 있는 것은 다만 .. 육도삼략[完] 2012.05.19
삼략三略 상략上略[2]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 삼략三略 상략上略[2]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말하기를 柔能制剛, (유능제강) 「유한 것은 강한 것을 능히 제어할 수 있으며, 弱能制强. (약능제강) 약한 것은 강한 것을 능히 제어할 수 있다」 고 하였다. 柔者, 德也;(유자 덕야) 유한 것은 착하고 아름다운.. 육도삼략[完] 2012.05.19
삼략三略 상략上略[1] 마음을 얻어라 삼략三略 상략上略[1] 마음을 얻어라 夫主將之法, (부주장지법) 임금이나 장수의 자리에 있는 자라면 務攬英雄之心, (무람영웅지심) 뛰어난 영웅의 마음을 잡아 자기 심복으로 삼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賞祿有功, (상록유공) 공 있는 자에게는 상을 주고 녹봉을 내리며, 通志于.. 육도삼략[完] 2012.05.19
육도삼략 삼략(三略)에 대하여 삼략(三略)에 대하여 - 두산 세계 대백과 사전 - 삼략「三略」은 진(秦)나라 시대의 황석공(黃石公)이라는 은둔자가 이교라고 하는 곳에서 장량에게 전해준 태공망의 병서라 전해온다. 그런 까닭으로 이 삼략을 「황석공 삼략」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춘추경이 만들어진 것은 선각자가 중.. 육도삼략[完] 2012.05.19
큰그릇은 더디 이루어진다 (노자 하편 제41장) 큰그릇은 더디 이루어진다 (노자 하편 제41장) 上士聞道(상사문도) 뛰어난 사람은 도에 대해 들으면 勤而行之(근이행지) 힘써 행하려 하고 中士聞道(중사문도) 어중간한 사람은 도에 대해 들으면 若存若亡(약존약망) 이런가 저런가 망설이고 下士聞道(하사문도) 못난 사람은 도에 대해 들.. 道德經[完] 2012.05.18
되돌아오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노자 하편 제40장) 되돌아오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노자 하편 제40장) 反者道之動(반자도지동) 근본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고 弱者道之用(약자도지용) 부드럽고 약한 것이 도의 작용이다. 天下萬物生於有(천하만물생어유) 세상의 만물은 천지음양의 기운인 유에서 나오고 有生於無(유생어.. 道德經[完] 2012.05.18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노자 하편 제39장)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노자 하편 제39장) 昔之得一者(석지득일자) 예부터 <하나>를 얻은 것들이 있다 天得一以淸(천득일이청) 하늘은 하나를 얻어 맑고 地得一以寧(지득일이녕) 땅은 하나를 얻어 편안하고 神得一以靈(신득일이령) 신은 하나를 얻어 영묘하고 谷得一.. 道德經[完] 2012.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