戰國策

策01東周003-00 제명이 이단(二端)을 거론하며 무공을 설득하다.

강병현 2007. 8. 1. 17:55

 

策01東周003-00 제명이 이단(二端)을 거론하며 무공을 설득하다.

 

 

東周與西周爭(동주여서주쟁),

동주와 서주가 서로 다투게 되자,

 

西周欲和於楚(서주욕화어초)、韓(한).

서주는 초와 한과 화친하고자 하였다.

 

齊明謂東周君曰(제명위동주군왈):

이때 세객인 제명이 동주의 무공에게 말하였다.

 

“臣恐西周之與楚(신공서주지여초)、韓寶(한보),

“신은 서주가 초와 한 두 나라에 보물을 주고,

 

令之爲己求地於東周也(영지위기구지어동주야).

그들로 하여금 자신을 위해 동주에게 땅을 요구할까 두렵습니다.

 

不如謂楚(불화위초)、韓曰(한왈):

그러니 초,한 두 나라에 말하기를,

 

‘西周之欲入寶(서주지욕입보),

서주가 초,한 두 나라에 보물을 주고자 하니,

 

持二端(지이단).

우리가 그 이단(二端)을 잡고 있다.

*이단(二端):보물을 줄지 여부에 관한 결정권을 의미함

 

今東周之兵不急西周(금동주지병불급위서주),

지금 우리 동주의 군사가 서주를 급히 치지 않는 한,

 

西周之寶不入楚(서주지보불입초)、韓(한).’

서주의 보물은 초,한 두나라에게 들어 갈리 없다고 하느니만 못합니다.

 

楚(초)、韓欲得寶(한욕득보),

초,한 두나라가 보물을 얻고자 하는 이때에,

 

卽且趣我攻西周(즉차취아공서주).

우리가 장차 서둘러 서주를 공격하면,

 

西周寶出(서주보출),

결국 서주는 보물을 내놓고 말 것입니다.

 

是我爲楚(시아위초)、韓取寶(한취보)

이는 우리가 초,한 두나라를 위해 보물을 취해

 

以德之也(이덕지야),

그들에게 덕을 베푸는 셈이 됩니다.

 

西周弱矣(서주약의).”

그리되면 서주는 반드시 약해지고 말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