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內篇 1. 逍遙遊(소요유) 4. 단명(短命)와 장수(長壽)
小知不及大知(소지불급대지)
편협한 지혜는 탁 트인 지혜에 미치지 못하고,
小年不及大年(소년불급대년)
짧은 목숨은 긴 수명에 이르지 못한다.
奚以知其然也(해이지기연야)
어찌 이를 아는가.
(지혜가 작고 수명이 짧은 두 벌레가 대붕의 뜻을 알지 못하는 연유이다.)
朝菌不知晦朔(조균불지회삭)
하루살이 버섯(朝菌)은 한 달을 알지 못하고
蟪蛄不知春秋(혜고불지춘추)
쓰르라미는 봄과 가을을 알지 못한다.
此小年也(차소년야)
이 하루살이와 쓰르라미가 바로 수명이 짧은 생명체이다.
楚之南有冥靈者(초지남유명령자)
초나라 남쪽에 명령(冥靈)이 살고 있었는데
以五百歲爲春(이오백세위춘)
5백 년 동안을 봄,
五百歲爲秋(오백세위추)
5백 년 동안을 가을로 삼고 살았다.
上古有大椿者(상고유대춘자)
또 아주 오랜 옛날에 대춘이란 나무가 있었다.
以八千歲爲春(이팔천세위춘)
8천 년 동안을 봄,
八千歲爲秋(팔천세위추)
8천 년 동안을 가을로 삼았다 한다.
此大年也(차대년야)
이것이 수명이 긴 생명체이다.
而彭祖乃今以九特聞(이팽조내금이구특문)
그런데 팽조는 요즈음, 오래 산 인무로 특히 유명해 많은
衆人匹之(중인필지)
사람들이 그와 짝하려 한다.
不亦悲乎(불역비호)
이 또한 슬프지 아니한가.
'장자(莊子)[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內篇 1. 逍遙遊(소요유) 6. 대자연의 섭리에 몸을 맡기라 (0) | 2014.10.14 |
---|---|
莊子 內篇 1. 逍遙遊(소요유) 5. 작은 것과 큰 것의 차이 (0) | 2014.10.14 |
莊子 內篇 1. 逍遙遊(소요유) 3. 미물(微物)이 붕새의 뜻을 어찌 알랴. (0) | 2014.10.14 |
莊子 內篇 1. 逍遙遊(소요유) 2. 붕새의 비상(飛翔) 조건 (0) | 2014.10.14 |
莊子 內篇 1. 逍遙遊(소요유) 1. 제해(齊諧)와 대붕(大鵬) (0) | 201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