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한비자韓非子 제23편第23篇 설림하說林(下) : 용기는 이익에서 나온다.

강병현 2015. 8. 24. 13:49

한비자韓非子 제23편第23篇 설림하說林(下) : 용기는 이익에서 나온다.

 

- 韓非子 第23篇 說林(下)[2]-

 

衛將軍文子見曾子(위장군문자견증자) :

위나라 장군 문자가 증자를 만나러 갔는데,

曾子不起而延於坐席(증자부기이연어좌석) :

증자는 일어서서 맞이하기는커녕 태연히 상석에 앉아 있기만 했다.

正身見於奧(정신견어오) 文子謂其御曰(문자위기어왈) :

증자를 만나고 나온 문자는 불쾌하여 마부에게 말했다.

曾子(증자) 愚人也哉(우인야재) :

“증자는 부족한 인간이다.

以我爲君子也(이아위군자야) 君子安可毋敬也(군자안가무경야) :

나를 군자로 생각했다면 존경했어야 할 것이고,

以我爲暴人也(이아위포인야) 暴人安可侮也(포인안가모야) :

나를 불한당으로 여겼더라도 무시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曾子不僇命也(증자부륙명야) :

증자가 험한 꼴을 당하지 않은 것은 운이 좋았던 것이다.”

鳥有翢翢者(조유우우자) 重首而屈尾(중수이굴미) :

주주라는 새가 있는데 그 머리는 무겁고 꼬리는 굽어 있다.

將欲飮於河(장욕음어하) 則必顚(칙필전) :

그 때문에 냇물을 마시려고 하면 반드시 앞으로 고꾸라진다.

乃銜其羽而飮之(내함기우이음지) :

그래서 다른 한 마리가 그 날개를 입으로 물어주어야

고꾸라지지 않고 물을 마실 수가 있다.

人之所有飮不足者(인지소유음부족자) 不可不索其羽也(부가부삭기우야) :

사람도 마찬가지로 혼자서 할 수 없을 경우에는

도와주는 자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鱣似蛇(전사사) :

뱀장어는 뱀과 같고

蠶似蠋(잠사촉) :

누에는 벌레와 같다.

人見蛇(인견사) 則驚駭(칙경해) :

사람은 뱀을 보면 놀라고,

見蠋(견촉) 則毛起(칙모기) :

벌레를 보면 소름이 돋는다.

漁者持鱣(어자지전) 婦人拾蠶(부인습잠) :

그러나 어부는 태연하게 뱀장어를 잡고 여인들은 아무렇지 않게 누에를 만진다.

利之所在(리지소재) :

이익이 되는 일이라면

皆爲賁諸伯樂敎其所憎者(개위분제백낙교기소증자) :

누구나 맹분이나 전제와 같은 용사가 되는 것이다.

相千里之馬(상천리지마) :

백락은 미운 자에게는 하루 동안 천리를 달리는 명마의 감정법을 가르쳤고,

敎其所愛者相駑馬(교기소애자상노마) :

자기가 사랑하는 자에게는 둔한 말의 감정법을 가르쳤다.

以千里之馬時一有(이천리지마시일유) :

그 이유는 명마는 드물게 나타나는 것이므로

其利緩(기리완) :

그 감정법을 알고 있어도 별로 이익이 되지 않지만

駑馬日售(노마일수) :

둔한 말은 매일 거래가 많으니

其利急(기리급) :

그 감정법을 알고 있으면 수지가 맞기 때문이었다.

此周書所謂(차주서소위) 下言而上用者(하언이상용자) 惑也(혹야) :

주서에도「통속적인 이야기가 오히려 요긴하다」는 구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