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표시를 믿을까 발을 믿을까
- 韓非子 第32篇 外儲說(左上)[309]-
郢人有遺燕相國書者,(영인유유연상국서자)
영나라 사람으로 연나라 재상에게 편지를 보낸 이가 있었다.
夜書,(야서) 火不明,(화부명)
밤에 글을 쓰고 있었는데 너무 어두웠다.
因謂持燭者曰:(인위지촉자왈) " 擧燭。(거촉)"
그래서 촛불을 들고 서 있는 자에게「불을 높이 들어라」라고 말했다.
而誤書(이오서) " 擧燭。(거촉)"
그리고는 편지에도「불을 높이 들어라」라고 잘못 써넣었다.
擧燭,(거촉) 非書意也。(비서의야)
「불을 높이 들어라」는 내용은 편지의 내용과는 상관이 없었으나
燕相國受書而說之, (연상국수서이설지)
연나라 재상은 이 편지를 받아보고 이렇게 설명했다.
曰:(왈) " 擧燭者,(거촉자) 尙明也;(상명야)
“「불을 높이 들어라」라는 말은 밝음을 숭상하는 뜻이며,
尙明也者,(상명야자) 擧賢而任之。(거현이임지)"
밝음을 숭상한다는 뜻은 현명한 사람을 높이 추대하여 그에게 맡기라는 뜻이다.”
燕相白王,(연상백왕) 王大說,(왕대설)
그리고 연나라 재상은 이 사실을 왕에게 말하자
國以治。(국이치)
왕은 기뻐하면서 그대로 실천했다.
治則治矣,(치칙치의)
그래서 나라가 잘 다스려졌다.
非書意也。(비서의야)
그러나 편지의 그 말과는 관계없는 일이다.
今世學者多似此類。(금세학자다사차류)
요즈음 학자 가운데도 그런 자들이 많다.
鄭人有欲買履者,(정인유욕매리자)
정나라 사람으로 신발을 사려고 하는 사람이 있었다.
先自度其足而置之其坐,(선자도기족이치지기좌)
먼저 자기 발의 길이를 재어 종이게 기록했으나 그 종이를 잊고 장에 갔다.
至之巿而忘操之。(지지불이망조지) 已得履,(이득리) 乃曰:(내왈)
시장에서 신발을 보고는 말했다.
" 吾忘持度。(오망지도)"
“칫수를 적은 쪽지를 잊고 왔구나.”
反歸取之。(반귀취지)及反,(급반)
그리고는 집으로 돌아와 종이를 가지고 시장에 다시 나갔으나
巿罷,(불파) 遂不得履。(수부득리)
장은 이미 파한 뒤였다.
人曰:(인왈) " 何不試之以足? (하부시지이족)"
어떤 사람이 물었다. “여보시오. 신발을 신어 봤으면 됐을 것이 아니오.”
曰:(왈) "
그 사나이가 대답했다.
寧信度,(녕신도) 無自信也。(무자신야)"
“칫수를 적은 종이는 믿을 수 있어도 내 발은 믿을 수 없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공적 없는 상과 예우는 안 된다 (0) | 2020.02.07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이익에 따라 움직인다 (0) | 2020.02.07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옛글에 연연하지 마라 (0) | 2020.02.07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처지가 다르다 (0) | 2020.02.07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융통성이 없는 것은 병이다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