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三 致知 9. 쌓음이 있으면 관통한다. 卷三 致知 9. 쌓음이 있으면 관통한다. 凡一物上(범일물상) 有一理(유일리) 무릇 하나의 물건에는, 한 가지 이치가 있는 것이다. 須是窮致其理(수시궁치기리) 모름지기 그 이치를 궁구하여 찾아 내야 할 것이다. 窮理亦多端(궁리역다단) 이치를 찾는 데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或讀書(혹.. 近思錄 2016.07.28
卷三 致知 8. 무리하게 행하면 오래 가지 못한다. 卷三 致知 8. 무리하게 행하면 오래 가지 못한다. 問(문) 묻기를, 忠信進德之事(충신진덕지사) 固可勉强(고가면강) "충실과 믿음으로써 덕으로 나아가는 일은, 힘써 노력해야 하지만, 然致知甚難(연치지심난) 지(知)에 이르는 길은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니겠습니까?"하니, 伊川先生曰(이천선.. 近思錄 2016.07.26
卷三 致知 7. 묵지(默識)하며 꾸준히 사색하라 卷三 致知 7. 묵지(默識)하며 꾸준히 사색하라 所謂日月至焉(소위일월지언) 가령 하루나 한 달 동안 인(仁)을 행하는 것과, 與久而不息者(여구이불식자) 오랫동안 인을 어기지 않았다는 것은, 所見規模雖略相似(소견규모수략상사) 규모가 서로 비슷하다고 할지라도, 其意味氣象逈別(기의.. 近思錄 2016.07.26
卷三 致知 6. 학문은 생각하는 데 근원을 둔다. 卷三 致知 6. 학문은 생각하는 데 근원을 둔다. 學源於思(학원어사) 학문은 생각하는 데 근원을 둔다. <정씨유서(程氏遺書)> 제6편(第六篇) 학문의 이치는 옳은 사고에서 비롯된다는 말이다. 주자는 말하기를, "생각은 총명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近思錄 2016.07.26
卷三 致知 5. 요괴나 허황된 이설(異說)을 믿지 말라 卷三 致知 5. 요괴나 허황된 이설(異說)을 믿지 말라 今日雜信鬼怪異說者(금일잡신귀괴이설자) 오늘날 요괴나 허황된 이야기를 믿는 것은, 只是不先燭理(지시불선촉리) 단지 이치를 분명히 밝히지 않기 때문이다. 若於事上(약어사상) 一一理會(일일이회) 만약 사물의 이치를, 일일이 완미.. 近思錄 2016.07.26
卷三 致知 4. 얻어진 것이 있으면 마음이 흡족하다. 卷三 致知 4. 얻어진 것이 있으면 마음이 흡족하다. 欲知得與不得(욕지득여부득) 於心氣上驗之(어심기상험지) 이치를 깨우쳤는지 아닌지를 알려면, 마음 위에서 살펴야 한다. 思慮有得(사려유득) 中心悅豫(중심열예) 생각하여 얻은 것이, 마음 속에 즐거워서, 沛然有裕者(패연유유자) 實得.. 近思錄 2016.07.26
卷三 致知 3. 편견이 있으면 표현이 막힌다. 卷三 致知 3. 편견이 있으면 표현이 막힌다. 伊川答橫渠先生曰(이천답횡거선생왈) 이천 선생이 횡거 선생에게 대답하기를, 所論(소론) 大槩有苦心極力之象(대개유고심극력지상) "논술한 것에는, 대개 고통과 힘을 다한 기상이 있으나, 而無寬裕溫厚之氣(이무관유온후지기) 너그럽고 .. 近思錄 2016.07.23
卷三 致知 2. 생각해 보지 않고 방치하는 것은 잘못이다. 卷三 致知 2. 생각해 보지 않고 방치하는 것은 잘못이다. 伊川先生答門人曰(이천선생답문인왈) 이천 선생이 문인들에게 대답하여 말하기를, 孔孟之門(공맹지문) "공자와 맹자의 제자들이라고, 豈皆賢哲(기개현철) 어찌 모두 현인(賢人)이고 철인(哲人)이겠는가? 固多衆人(고다중인) 평범한.. 近思錄 2016.07.23
卷三 致知 1. 마음이 도에 통해야 시비를 가릴 수 있다. 卷三 致知 1. 마음이 도에 통해야 시비를 가릴 수 있다. 伊川先生(이천선생) 答朱長文書曰(답주장문서왈) 이천 선생이, 주장문(朱長文)에게 대답하여 말하기를, 心通乎道(심통호도) 然後能辨是非(연후능변시비) "마음이 도에 통한, 다음에야 능히 옳고 그름을 가릴 수 있는 것이다. 如持權.. 近思錄 2016.07.23
卷二 爲學 111. 뜻이 작으면 쉽게 만족하게 된다. 卷二 爲學 111. 뜻이 작으면 쉽게 만족하게 된다. 學者大不宜志小氣輕(학자대불의지소기경) 배우는 사람은 뜻을 작게 하고 기질을 가볍게 해서는 안된다. 志小則易足(지소칙역족) 易足則無由進(역족칙무유진) 뜻이 작으면 쉽게 만족하고, 쉽게 만족하면 발전이 없다. 氣輕則以未知爲已知(.. 近思錄 2016.07.23